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https://nurselink.moneple.com/campus_talk/105414266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심전도(EKG) 검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심전도 검사에 대한 정의부터 EKG 부착 부위와 그리고 리드(Leads) 색상에 따른 

EKG 부착 위치까지 전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해요!

먼저 심전도(EKG) 검사의 정의에 대해 알아볼까요?

 

 

심전도(EKG) 검사란?

 

심장은 2개의 심방(좌심방, 우심방)2개의 심실(좌심실, 우심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방 위쪽에는 동방결절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곳에서 심장 전체로 보낼 전기 신호를 만들어 내고 

그 전기 신호를 기록해 부정맥을 진단하거나 심장 비대, 관상동맥질환 등 

각종 심장 질환을 조기에 찾아 찾기 위해 진행하는 검사입니다.

 

심박동과 관련된 전위를 신체 표면에서 도형으로 기록하며,

표준 12유도 심전도 외에 운동부하 심전도, 활동중 심전도 등의 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심전도는 어떻게 확인할까요?

 

 

정상적인 심전도와 기본 파형 모양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출처 : 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depts/heart/K/content.do?menuId=5035

 

심박동수가 분당 60~100, 리듬이 규칙적이며 심전도 파형의 크기와 형태가 정상일 때 정상 심전도로 봅니다. 정상 심전도라고 해도 환자가 가슴 통증, 두근거림, 운동할 때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의사의 진찰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 기본 파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출처 : 나무위키

 

P

, 우심방벽의 수축을 기록

P파의 폭은 심방의 전도시간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0.12초 이내

P파의 크기는 심방의 근량을 의미하며 정상범위는 높이 2.5mm 이내

P-Q

전류 신호가 심장을 자극하지 않는 휴지기로, 일직선으로 표시

QRS

좌, 우심 벽 및 심실중격의 복합 흥분 소견 기록

Q : 방실결절이 전류신호를 놓아줌

R : 심실 극성화

S : 심실 비극성화

S-T

전류 신호가 심장을 자극하지 않는 휴지기로, 일직선으로 표시

※ 일직선이 아닌 경우에는 심내/외막의 허혈 손상을 의심

T

흥분된 심실 벽이 복구되는 과정 의미

T파의 정상 범위는 사지유도일 경우 5mm 이내, 흉부유도일 경우 10mm 이내

 

 

 

표준 · 운동부하 · 홀터 등 심전도 검사의 종류

 

▶ 표준 12유도 심전도

가장 표준적인 심전도 검사 방법입니다.

6개의 표준사지유도와 6개의 흉부유도, 12개의 그래프를 기록합니다.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이나 부정맥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검사로

활동할 때의 심장 상태와 비슷하게 심장에 부하를 주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 

실제 운동을 하면서 심전도와 심박수, 혈압을 측정합니다.

 

▶ 활동중 심전도 검사(홀터 감시)

부정맥은 오랜 시간 동안 심전도를 기록해야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어,

홀터 감시는 부정맥이 의심되거나 검사하기 위해 진행하는 검사로 

24시간에서 한 달여 동안 심전도를 기록합니다.

 

 

EKG 부착 부위 및 리드(Leads)색상에 따른 EKG 부착 위치는?

 

EKG 부착 부위는 검사 목적에 따라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준 12유도 심전도 기준으로 사지 유도(Limb Leads) 와 흉부 유도(Precordial Leads)에 대해 알아볼게요.

 

▶ 사지 유도(Limb Leads)

사지 유도 보통 팔다리 끝에 붙입니다.

움직임이 심한 환자의 경우 어깨나 허벅지 부위로 올려서 부착하기도 합니다.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RA - Right Arm (흰색) : 오른쪽 팔목 또는 어깨 부위

LA - Left Arm (검은색) : 왼쪽 팔목 또는 어깨 부위

RL - Right Leg (녹색) : 오른쪽 발목 또는 허벅지 부위

LL - Left Leg (빨간색) : 왼쪽 발목 또는 허벅지 부위

 

 

IEC/AHA 기계의 따른 부착 위치 및 색상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IEC 기준>

RA - Right Arm (흰색) : 우측 쇄골아래

LA - Left Arm (검은색) : 좌측 쇄골아래

LL - Left Leg (빨간색) : 좌측 흉곽 하단부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AHA 기준>

R - Right Arm (빨간색) : 우측 2번째 늑간

L - Left Arm (노란색) : 좌측 2번째 늑간

F - Left Leg (녹색) : 좌측 7-8번째 늑간

 

 

▶ 흉부 유도(Precordial Leads)

가슴쪽에 붙이며, V1 ~ V6의 총 6개의 리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V1 (빨간색) : 오른쪽 제4늑간, 흉골 오른쪽 가장자리

V2 (노란색) : 왼쪽 제4늑간, 흉골 왼쪽 가장자리

V3 (초록색) : V2V4 사이, 직선 중간

V4 (파란색) : 왼쪽 제5늑간, 중앙쇄골선

V5 (주황색) : V4 수평선상, 앞액와선

V6 (보라색) : V4, V5 수평선상, 중간액와선

 

 

EKG 부착 시 주의 사항은 무엇이 있을까요?

 

부착 전에는 환자의 피부를 젖은 거즈나 알코올 솜으로 닦아 기름, 땀 등을 제거해 줍니다.

필요시 면도 작업이 필요할 수 있어요.

EKG 검사 진행 시 긴장하면 심박수에 변동이 생길 수 있어

환자가 안정적인 상태로 있을 수 있도록 유도해 줍니다.

 

리드(Leads)정확한 위치에 부착해야 합니다

특히 흉부 유도(Precordial Leads)의 경우 V1 ~ V6의 위치가 정확해야 의미 있는 파형이 나옵니다.

또 헐겁거나 공기가 들어가면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어 꼭 밀착 부착해야 합니다.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지금까지 심전도(EKG) 검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심전도 검사를 진행할 때 오늘 알려드린 내용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또 간호사, 간호대생을 위한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0
0
신고하기

작성자 말랑간호지식

신고글 EKG 부착 부위와 검사 방식에 따른 리드(Leads) 색상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