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병원 방송으로 “코드블루, 코드블루” 라고 울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방송이 나오면 의료진들이 급하게 방송에서 말해주는 장소로 달려가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죠.
코드블루 뜻은 병원에서 심정지 등으로 인해 심폐소생술(CPR)이 즉시 필요한 응급상황을 알리는 의료 코드입니다. 병원에서는 이 외에도 코드레드, 코드핑크 등 다양한 의료코드 종류를 사용하여 상황에 맞게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이 게시글에서 코드블루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코드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의료코드란?
의료코드는 병원에서 긴급한 상황이거나 공지사항을 안내할 때 쓰는 코드로, 다양한 색깔을 통하여 상황을 알립니다.
의료코드에는 코드블루, 코드레드, 코드오렌지, 코드그린, 코드퍼플, 코드핑크, 코드블랙, 코드그레이, 코드화이트, 코드클리어 등이 있습니다.
2) 의료코드 사용 목적
의료코드 사용 목적은 크게 5가지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신속한 대응 |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정보 전달을 통해 빠른 구조 및 치료 가능 |
2. 의사소통 효율성 |
짧은 코드로 상황을 전달함으로써 혼잡한 환경에서도 의료진 간 의사소통 원활하게 유지 가능 |
3. 훈련 및 절차 표준화 |
각 코드에 특정 대응 절차가 있어, 긴급 상황에서의 일관성 높임 (의료진이 사전에 훈련된 절차에 따라 행동하도록 유도) |
4. 환자 안전 증대 |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환자의 생명과 안전 보호 |
5. 리소스 관리 |
각 코드에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조정하여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 |
3) 의료코드 종류별 설명 (코드레드~코드클리어)
지금부터, 코드블루 뜻을 비롯한 다양한 색깔의 코드종류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코드블루는 통합적으로 사용되지만 병원마다 코드의 차이가 있으니 참고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① 코드블루 뜻
- CPR(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가 생겼을 경우 발동, 의료진들이 신속하게 CPR을 실시합니다.
- 예시: “○○병동 ○○과 코드블루, 코드블루” (보통 위치, 관련 과 등을 포함하여 3번 방송)
② 코드레드 뜻
- 병원 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동,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안내 방송에 따라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 예외: 서울아산병원의 경우, 코드레드는 ‘소아 코드블루’ 시 발동합니다.
③ 코드오렌지 뜻
- 재난 등의 이유로 다량의 사상자가 발생한 경우 발동, 유해물질을 살포한 경우에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참조합니다.
④ 코드그린 뜻
- 메르스, 코로나19 등의 법정 감염병, 전염병 의심 환자가 발생한 경우 발동, 재난구호나 긴급 대피명령이 생긴 경우에 안전관리 지침을 참조합니다.
- 특징: 주로 감염내과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⑤ 코드퍼플 뜻
- 위협적인 행동이나 말을 하는 사람이 있거나 또는 폭탄의 의심이 있는 경우 발동, 즉시 병원 상황실로 신고합니다.
⑥ 코드핑크 뜻
- 소아, 유아 환자가 납치되거나 산부인과에 문제가 있을 경우 발동, 납치 의심되는 행동을 신고합니다.
- 예외: 일부 병원에서는 코드앰버로 쓰이기도 합니다.
⑦ 코드블랙 뜻
- 기상재해가 발생한 경우 발동, 해제 경보가 울릴 때까지 창문에서 떨어져서 모든 문을 닫고 대기합니다.
⑧ 코드그레이 뜻
- 지명수배범, 테러리스트 등 위험인물이 출현하거나 신종감염병의 환자가 대량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동, 원내를 통제하고 신고합니다.
⑨ 코드화이트 뜻
- 병원의 전산시스템이 마비된 경우 발동, 의료정비실에 신고한 후 안내 단계에 따라 행동합니다.
⑩ 코드M 뜻
-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난동을 부리는 환자가 발생할 경우 발동합니다.
- 특징: 주로 환자의 방문이 잦은 외래에서 자주 발생하며 코드 M 발동 시 보안요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⑪ 코드클리어 뜻
- 코드가 해제된 경우를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정리한 내용을 표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겠습니다.
코드블루 |
CPR 환자가 발생한 경우 |
코드레드 |
화재가 발생한 경우 |
코드오렌지 |
유해물질 살포한 경우 |
코드그린 |
재난구호 or 긴급 대피명령 있는 경우 |
코드퍼플 |
위협적인 행동이나 말을 하는 사람 or 폭탄 의심 |
코드핑크 |
아동유괴 or 산부인과나 소아문제의 경우 |
코드블랙 |
기상재해가 발생한 경우 |
코드그레이 |
위험인물의 출현 or 신종감염병 환자의 발생 |
코드화이트 |
병원 전산시스템이 마비된 경우 |
코드M |
난동을 부리는 환자가 발생한 경우 |
코드클리어 |
코드가 해제된 경우 |
4) 마무리 및 참고영상
지금까지 코드블루 뜻을 비롯한 의료코드 종류에 대해 모두 정리해봤습니다! 병원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통용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꼭 알아두세요.
병원에서 근무하다보면 코드블루는 정말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 오늘도 생명의 최전선에서 최선을 다하고 계시는 간호사 선생님들께 응원을 보냅니다!
‘코드블루 뜻’, ‘의료코드 종류’에 대해 궁금했던 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실생활에 유익한 의료 지식과 상황 대처법을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코드블루 상황이 담겨진 영상 첨부해드리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작성자 간호유니버스
신고글 코드블루 뜻? 의료코드 종류와 의미 완벽 정리 (의학드라마 속 병원 코드 해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