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내주사 핵심술기(Intradermal Injection)는 간호학과 학생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대표적인 기초 술기입니다. 특히 알레르기 검사, 결핵 반응 검사(Tuberculin Skin Test)와 같이 정밀한 반응 관찰이 필요한 검사에 사용되며, 바늘 삽입 깊이, 각도, 그리고 팽진(wheal)의 정확한 형성 여부는 피내주사 핵심술기의 성공을 좌우하는 결정 요소입니다.
피내주사 핵심술기와 정확한 피내주사 부위 선택법을 실습과 국가고시 대비를 위해 간호학과 학생 관점에서 완벽히 정리했습니다. 실패 예시, 주사 각도, 기록 팁까지 확인해보세요!
1. 피내주사란?
피내주사는 약물을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표피 바로 아래 진피층에 소량 주입하여 천천히 약물이 흡수되도록 하는 주사 방식입니다. 주입된 약물이 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을 통해 민감도를 측정하거나 특정 질환 유무를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
주요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투베르쿨린 검사 (결핵 반응)
• 알레르기 테스트
• 백신 전 과민반응 검사
• 약물 민감성 검사
2. 피내주사 부위 선택 기준 및 특징
피내주사 부위는 피부가 얇고 자극에 민감한 부위를 선택해야 하며, 대상자가 시술 후 반응을 쉽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 부위가 권장됩니다.
전완 내측 (팔 안쪽)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위 |
대상자가 팔을 뻗은 자세에서 시술과 반응 판독이 모두 용이 |
|
견갑골 부위 (어깨뼈 아래) |
넓은 피부면적을 사용할 수 있어 다중 테스트에 유리 |
대상자가 누운 자세에서도 시술 가능 |
|
쇄골 아래 부위 |
비교적 민감한 피부층 |
연구 목적이나 특정 알레르기 검사에 사용 |
※ 주의할 점: 염증, 상처, 습진, 과도한 체모가 있는 부위는 반응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3. 피내주사 핵심술기 절차
① 준비 및 설명
• 손위생을 철저히 시행합니다. → 멸균 장갑 착용
• 대상자에게 검사 목적과 절차를 설명합니다. → 심리적 안정 유도
② 준비물 확인
• 멸균된 1mL 튜블린(Tuberculin) 주사기
• 26G 또는 27G 짧고 얇은 바늘
• 주입 약물 (예: tuberculin)
• 알코올 솜 또는 클로르헥시딘 패드
• 멸균 거즈, 감염성 폐기물통
③ 주사 부위 소독
• 알코올 솜으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소독합니다.
• 반드시 자연 건조시켜야 합니다. (소독액 잔류 시 반응 왜곡 가능)
④ 바늘 삽입 및 약물 주입
• 바늘을 15도 각도로 피부에 거의 평행하게 얕게 삽입합니다.
• 바늘 끝이 피부 안에서 살짝 보일 정도로 얕게 넣는 것이 이상적인 주사 방법입니다.
• 0.1mL 이하의 약물을 천천히 주입합니다.
• 직경 약 6mm 이상의 팽진(wheal)이 형성되면 성공입니다.
※ 피하주사, 근육주사와 달리 피내주사는 정확한 각도와 깊이 조절이 중요합니다.
※ 팽진이 형성되지 않으면 진피층이 아닌 피하조직에 주입된 것으로 간주되며, 반드시 다른 부위에 재시행해야 합니다.
⑤ 주사 후 마무리
• 바늘 제거 후 주사 부위를 문지르지 말고 자연 건조합니다.
• 가벼운 압박은 가능하나 마사지는 금지합니다.
• 대상자에게 반응 부위를 긁거나 문지르지 않도록 교육합니다.
4. 간호 기록 및 시술 후 관리
정확한 기록은 피내주사 핵심술기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내용을 꼭 빠짐없이 기록하세요!
• 약물명 및 제조번호
• 투여량 (ex. 0.1mL)
• 주사 시간 및 부위
• 팽진 유무 및 크기
• 대상자 반응 및 교육 내용
※ SOAP 노트 방식으로 정리하면 실습 평가나 간호기록지 작성 시 도움이 됩니다.
5. 피내주사 핵심술기 실패 사례 & 대처법
실패 상황 |
원인 |
해결 방법 |
팽진 없음 |
너무 깊게 삽입 → 피하주사로 변경됨 |
각도 조절 후 다른 부위 재시행 |
출혈 발생 |
혈관 손상 |
지혈 후 반대 팔 시도 |
반응 없음 |
약물 상태 이상 또는 투여 오류 |
약물 확인 및 재시행 고려 |
대상자 통증 호소 |
빠른 주입 속도 또는 잘못된 삽입 각도 |
천천히 주입, 다시 교육된 각도 재확인 |
6. 피내주사 핵심술기 실습·국가고시 대비 꿀팁
• 주사 각도(15도) 및 얕은 삽입 깊이는 반드시 반복하여 연습해야 합니다.
• 시뮬레이터나 모형 팔을 활용한 실습이 효과적입니다.
• 팽진이 형성되는 정도를 직접 시각적으로 익히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 투베르쿨린 검사의 경우 48~72시간 후 판독 기준도 함께 숙지하도록 합니다.
투베르쿨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다면, 서울아산병원 검사/시술/수술정보를 참고해보세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05
마무리하며
피내주사 핵심술기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정확한 판단력과 세심한 손기술이 요구되는 간호술기입니다. 특히 시술 각도, 주입 깊이, 피내주사 부위의 선택은 시술의 성공을 좌우하므로 철저히 숙지해야 합니다.
이 글이 실습과 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복적인 실습과 이론 복습을 통해 피내주사 핵심술기와 정확한 피내주사 부위 선택 능력을 자연스럽게 체득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