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호학과 학생들이 임상실습을 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간호과정에 대해 알아볼게요!
간호과정이란,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 틀로
실제 간호현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요!
한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해 드릴게요!
[간호과정 5단계 정리]
단계 | 주요 내용 | 임상실습 시 포인트 |
1단계 사정 (Assessment) |
대상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객관적·주관적 정보를 수집 |
- 활력징후, 문진, 병력 확인 - EMR에서 환자 상태 분석 - NANDA 간호진단을 위한 근거자료 확보 |
2단계 진단 (Nursing Diagnosis) |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도출 |
- NANDA 간호진단 에 맞춰 기술- 실제적/위험 간호진단 구분 - 예: “비효율적 기도 청결” |
3단계 계획 (Planning) |
간호목표 설정 및 중재 계획 수립 |
- 장기/단기 목표 구분 - SMART 원칙 적용 (구체성, 측정 가능성 등) - 중재는 우선순위 고려 |
4단계 계획 (Planning) |
계획한 간호중재를 실제로 수행 | - 장기/단기 목표 구분 - SMART 원칙 적용 (구체성, 측정 가능성 등) - 중재는 우선순위 고려 |
5단계 평가 (Evaluation) |
계획한 간호중재를 실제로 수행 | - 목표 달성 여부 기록 - 목표 미달 시 간호과정 수정 필요 - 예: “기침 시 객담 양 감소, 호흡음 개선됨” |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단계벌 간호과정 5단계]
1단계 : 사정 (Assessment)
1 목표 : 환자의 건강 문제 및 관련 요인 파악
2 수집하는 정보
1)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환자가 직접 말하는 증상, 느낌, 생각, 과거력, 사회력, 가족력 등
예) "밤에 잠을 못 자겠어요", "배가 아파요"
2)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간호사가 직접 관찰하거나 측정하는 데이터
예) 활력징후, 신체 검진 결과, 검사 수치, 행동 관찰, 상처 상태
3 정보 수집하는 방법
1) 면담: 환자 및 보호자와의 대화.
2) 관찰: 환자의 행동, 표정, 전반적인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기
3) 신체 검진: 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을 통해 신체 상태 확인
4) 의무 기록 검토: 진단명, 처방 약물, 과거 검사 결과 등 확인
5) 문헌 고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문 지식 확보
예) 통증 호소(주관적), 얼굴 찡그림, 식은땀, 맥박 100회/분(객관적) 등
2단계: 진단 (Diagnosis)
1 목표: 환자의 건강 문제(간호진단)를 명확히 하고, 그 원인(관련 요인)과 나타나는 증상을 연결하여 진술
2 간호진단 구성 (PES 형식)
1) P (Problem): 간호진단명 (예: 급성 통증, 비효율적 호흡 양상).
2) E (Etiology): 문제의 원인 또는 관련 요인 (related to) (예: 수술 부위 염증, 기관지 경련).
3) S (Symptoms): 문제를 나타내는 특성 또는 증상 (as evidenced by)
(예: "너무 아파요"라고 말함, 얼굴 찡그림, 호흡수 증가, 청색증).
예) "수술 부위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Acute Pain related to surgical site inflammation)
▶ 얼굴 찡그림과 "너무 아파요"라고 말하는 양상으로 나타남
3단계: 계획 (Planning)
1 목표
1) 기대되는 결과/목표 설정 (Outcome Identification): 환자가 간호중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세움.
※ 목표는 SMART 원칙(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에 따라 설정함
2) 간호중재 계획 (Intervention Planning):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간호 활동을 계획
2 간호중재의 종류
1) 독립적 중재: 간호사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활동 (예: 체위 변경, 통증 완화 마사지, 건강 교육).
2) 의존적 중재: 의사의 처방에 따라 수행하는 활동 (예: 약물 투여, 수액 주입).
3) 협력적 중재: 다른 의료 전문직(물리치료사, 영양사 등)과의 협력을 통해 수행하는 활동.
예) "대상자는 2시간 이내에 통증 척도(NRS)를 7점에서 3점 이하로 보고할 것이다."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4단계: 수행 (Implementation)
1 목표: 수립된 간호 계획을 실행하고, 환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관찰
2 수행내용
1) 계획된 중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
2) 필요시 환자나 보호자를 간호 활동에 참여
3) 간호 활동을 수행하면서 환자의 새로운 반응이나 변화를 지속적으로 사정함
4) 기록: 수행한 간호 활동과 환자의 반응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함. 이는 법적인 근거가 되며,
다른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필수적임
예) "오전 10시, NRS 7점 호소하여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 투여함.
통증 부위 온찜질 적용 후 심호흡법 교육함."
5단계: 평가 (Evaluation)
1 목표: 설정된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며, 필요에 따라 간호과정을 수정
2 평가내용
1) 목표 달성 여부 확인
: "대상자는 2시간 이내에 통증 척도 7점에서 3점 이하로 보고할 것"이라는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확인
예) "오전 11시, NRS 3점으로 감소 보고함. 목표 달성"
2) 환자의 반응: 간호중재 후 환자의 상태 변화는 어떠했는지.
3) 계획의 수정: 목표가 달성되지 않았다면, 사정 자료를 재확인하고 간호진단, 목표, 중재 중
어느 부분이 수정되어야 하는지 평가함. 새로운 문제가 발견되면 간호과정의 첫 단계인 사정으로
다시 돌아가야 함
4) 지속/종료: 목표가 달성되었거나 더 이상 문제가 없다면 간호 계획을 종료하거나 새로운 간호진단으로 전환.
지금까지 간호과정의 5단계를 알아봤는데요!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각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유연하게 적용해야 해요!
한 가지 팁을 더 드리면, 간호계획을 수립할 때 NANDA 간호진단 리스트를 정리해 두시면
훨씬 수월하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