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상에서 환자 케어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인 ‘장루(Stoma)’에 대해 깊이 있게 정리해봤습니다. 장루는 질병 치료의 결과로 신체 외부에 만들어진 장의 출구이며, 장루 관리(Ostomy Care)는 환자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장루 종류부터 적절한 장루 주머니(Pouch) 선택 기준까지 상세히 정리했으니, 오늘 게시글이 여러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장루(Stoma)란 무엇인가요?
장루는 대장이나 소장의 일부를 복벽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켜 만든 출구입니다. 주로 대장암, 직장암,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외상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항문 기능을 상실했거나, 손상된 장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형성됩니다.
간호 학생으로서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장루가 환자에게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변화까지 가져오는 중요한 사건이라는 점입니다. 장루의 위치, 모양, 배설물의 형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전문적인 간호의 시작입니다.
2. 장루 종류: 위치와 특징에 따른 분류
장루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크게 회장루(Ileostomy)와 결장루(Colostomy)로 나뉩니다. 배설물의 성상, 피부 자극의 정도, 위치 등이 모두 다르므로, 환자 교육 및 간호 계획 수립 시 핵심적인 정보가 됩니다.
(1) 회장루 (Ileostomy)
• 위치: 보통 오른쪽 아랫배(우측 하복부)에 위치합니다.
• 특징: 소장의 끝부분인 회장으로 만듭니다.
• 배설물 성상: 물 또는 묽은 죽과 같은 형태로, 배설량이 많고(고용량 배출 장루 주의!) 수분이 많습니다.
• 피부 자극: 소화효소가 다량 함유된 배설물이 나와 피부 자극이 매우 심합니다. 장루 주변 피부 보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냄새: 결장루에 비해 냄새가 적은 편입니다.
(2) 결장루 (Colostomy)
결장루는 장루가 형성된 대장의 위치에 따라 다시 세부적으로 나뉩니다.
|
종류 |
위치 |
배설물 성상 |
피부 자극 |
주요 특징 |
|
횡행결장루 (Transverse Colostomy) |
상복부 중앙 또는 좌/우측 |
유동 변 또는 죽과 같은 변 |
여분의 소화효소로 인해 피부 자극이 생길 수 있음 |
복원 가능성이 있는 일시적 장루로 사용되기도 함. |
|
하행/S자결장루 (Descending/Sigmoid Colostomy) |
왼쪽 아랫배(좌측 하복부) |
정상 변과 비슷한 단단한 변 |
대부분 피부 자극이 생기지 않음 |
대장의 대부분이 기능하므로 변의 형태가 정상과 유사함. 필요시 장 세척(Irrigation)이 가능. |
즉, 횡행결장루는 배설물이 비교적 묽고 일시적 장루로 사용되며,
하행·S자결장루는 변이 단단하고 장 세척이 가능한 영구 장루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호학생 Key Point>
• 배설물 성상 차이 기억: 회장루(묽음/물변 → 피부 자극 ↑)와 하행/S자결장루(단단함/정상 변 → 피부 자극 ↓)의 차이는 장루 간호의 기본입니다.
• 위치 숙지: 장루의 위치(우하복부, 좌하복부 등)는 환자 사정 시 중요한 정보입니다.
3. 장루 주머니 종류와 선택 기준
장루 주머니(ostomy pouch)는 배설물을 담고 장루 주변 피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용품입니다. 장루 주머니 종류는 크게 구조에 따라 원피스형과 투피스형, 그리고 기능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나뉩니다.
(1) 구조에 따른 분류
|
분류 |
특징 |
장점 |
단점 |
|
원피스형 (일체형) |
피부 보호판과 주머니가 하나로 붙어 있음 |
부착이 간편하고 밀착성이 좋아 새는 위험이 적음 |
피부 보호판 교체 시 주머니도 함께 교체해야 하므로 피부에 자극이 더 갈 수 있음 |
|
투피스형 (분리형) |
피부 보호판과 주머니가 분리되어 있어 연결 링으로 결합 |
주머니만 교체 가능하여 피부 보호판은 며칠간 유지 가능. 피부 자극 최소화. |
주머니 부착 시 결합 부위에서 샐 가능성이 원피스형보다 높음 |
<간호학생 Key Point>
• 장루 주머니(ostomy bag)는 종류와 구조에 따라 관리 방법이 달라집니다. 특히 회장루 환자는 개방형 주머니를, 결장루 환자는 밀폐형을 주로 사용합니다.
• 원피스형은 주로 장루 형성 초기나 손 떨림 등으로 인해 투피스 사용이 어려운 경우에 적합합니다.
• 투피스형은 피부 보호판을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어 피부 보호에 유리하며, 활동량이 많은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습니다.
(2) 배설물 처리에 따른 분류
• 개방형 (Open-ended/Drainable): 주머니 아랫부분이 열리고 잠글 수 있게 되어 있어 배설물을 비울 수 있습니다. 회장루나 묽은 변을 배출하는 장루에 주로 사용됩니다. (자주 비워야 하는 회장루 환자에게 필수적)
• 밀폐형 (Closed-ended/Non-drainable): 주머니 아래가 막혀 있어 배설물이 3분의 1~반 정도 찼을 때 통째로 버리고 새 주머니로 교체합니다. 단단한 변을 배출하는 S자결장루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3) 기타 고려 사항 (피부 보호판의 종류)
장루 주변 피부의 상태에 따라 피부 보호판의 종류도 달라집니다.
• 평판(Flat barrier): 일반적인 돌출형 장루에 사용됩니다.
• 볼록판(Convex barrier): 장루가 함몰되어 있거나 편평하여 새기 쉬운 경우, 장루 주위를 눌러 장루를 돌출시켜 밀착력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4. 장루 간호의 중요성: 합병증 예방을 중심으로
장루 간호의 목표는 피부 자극과 감염을 예방하고, 환자가 스스로 장루를 관리하여 일상생활에 복귀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간호 학생들은 특히 다음 합병증을 숙지해야 합니다.
• 피부 합병증(Skin Complication): 가장 흔하며, 배설물 누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이 주를 이룹니다. 정확한 크기의 피부 보호판 사용과 파우더, 연고 등의 적절한 사용이 중요합니다.
• 장루 괴사(Stoma Necrosis): 장루 색깔이 검거나 푸르게 변하는 것으로, 혈액 공급 장애를 의미하며 즉각적인 보고가 필요합니다.
• 함몰(Retraction): 장루가 복벽 안으로 들어가 주변 피부가 배설물에 노출되는 경우이며, 볼록판(Convex barrier) 사용을 고려합니다.
• 탈장(Hernia) 및 탈출(Prolapse): 장루 주변 근육이 약해지거나 복압 상승으로 장이 돌출되는 현상입니다.
정확한 장루의 이해와 종류별 특성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맞는 용품을 선택하고, 자가 간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이번 게시글을 통해 장루 간호에 대한 지식을 굳건히 다지고, 임상에서 전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로 성장하시기를 응원합니다!
(클릭) 국가암정보센터에서 장루 교환 순서와 관리 방법을 자세히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