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공반사의 모든 것 Pupil Reflex (PLR)

 

🩺 간호학과 필수개념


동공반사의 모든 것 Pupil Reflex (PLR)

 

동공반사는 동공에 빛 자극을 가했을 때 동공의 크기가 수축하거나 확장되는 반응으로,
환자의 뇌신경 기능과 신경학적 손상 여부를 추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예요.
특히 뇌압 상승, 뇌졸중, 두부외상 환자 평가 시 필수 항목입니다.

 

 

 

✨ PLR(Pupillary Light Reflex)란?

 

PLR은 Pupillary Light Reflex의 약자로,
빛을 비추었을 때 나타나는 동공의 정상적인 수축 반응을 의미합니다.

III번 뇌신경(Oculomotor nerve)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

신경계 병변을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 1. 동공의 크기(Pupil Size)

정상 범위

정상: 2~4 mm

축동(Miosis): ≤ 2 mm

산동(Mydriasis): ≥ 5 mm

동공부동(Anisocoria)

좌우 동공 크기 차이가 0.5 mm 이상일 때

선천적일 수도 있지만, 뇌압 상승·중추신경계 문제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해요.

동공 크기 기준은 병원·교과서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동공의 모양(Pupil Shape)
형태    의미
Round (원형)    정상
Ovoid (타원형)    뇌압상승 시 가장 흔함
Key-hole (열쇠구멍 모양)    백내장·녹내장 수술 후 흔함
Irregular (불규칙)    외상·수술 등으로 인한 기계적 손상

동공의 모양 이상은 구조적 손상을 의미할 수 있어 꼭 기록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 3. 동공의 빛 반응(Pupil Light Reaction)

평가 방법

Pen light를 이용해 한쪽 눈에 1초 정도 빛을 비춥니다.

동공이 **빠르게 수축(brisk)**하는지 확인합니다.

수축 후 다시 확장되는지(redilation) 여부도 관찰합니다.

반대쪽 눈도 동일하게 실시합니다.

평가 시 주의사항

꼭 빛 비추기 전 동공 크기 먼저 확인 및 기록

반응속도가 느리거나 sluggish한 경우 신경학적 변화 의심

 

**Non-reactive(무반응)**일 경우 즉각 보고 필요!

 

 

🌟 4. 동공반응의 종류


종류    설명
Direct light reflex (직접반사)    빛을 비춘 눈 자체의 동공 수축
Consensual light reflex (교차반사)    반대편 눈의 동공도 함께 수축
Accommodation reflex(조절반사)    먼 곳 → 가까운 곳 초점 이동 시 동공 수축

 

 


📝 5. 동공 반응의 기록 방식 (예시 포함)


✔ Prompt (정상, brisk)

빛에 즉시·빠르게 수축하는 정상 반응 → “3→2 mm brisk” 또는 “Prompt (+)”.

✔ Sluggish (느린 반응)

빛에 수축은 하지만 느림 → ICP 상승 초기 의심 → “3→2 mm sluggish”.

✔ Fixed / Non-reactive (무반응)

빛을 비춰도 동공 크기 변화 없음 → 신경학적 응급 → “5 mm fixed” 또는 “non-reactive”.

✔ Hippus (진동성 동공반응)

빛 자극 없이도 동공이 작게 수축·확장 반복하는 불안정 반응 → 대개 신경계 변화 전조 → “Hippus (+)”.

병원마다 표기법이 약간 다를 수 있으니 기관 프로토콜에 맞춰 기록하세요!

 

 

📌 핵심 요약

 

동공 사정 시 반드시 4가지를 확인하세요!

1️⃣ 크기(Size) – 좌우가 같은가?
2️⃣ 모양(Shape) – 원형인가, 비정상 형태인가?
3️⃣ 반응(Reactivity) – brisk / sluggish / none
4️⃣ 대칭성(Symmetry) – 동공부동 여부 확인

 

 

0
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