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오늘은, 신생아황달 간호진단의 사례를 들어
신생아황달이 원인부터 원인, 증상, 치료법까지 알아볼게요!

 

우선, 2025년 개정된  NANDA 간호진단 목록을 기준으로, 신생아 황달에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은
다음처럼 정리할 수 있는데요!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PART 01] 신생아 황달 적용 가능 진단 - 2025 NANDA 간호진단 기준
1 고빌리루빈혈증 위험성 
1) 정의: 신생아에서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병리적으로 상승할 위험이 있는 상태
2) 관련요인 예시: 생리적 황달, 미성숙한 간 기능, 모유수유 지연, 혈액형 부적합

 

2 체액 부족 위험성
1) 정의: 수분 손실이 섭취보다 많아질 위험이 있는 상태
2) 광선치료 중 수분 증발로 인한 탈수 예방 간호에 활용 가능

 

3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1) 정의: 피부 손상 위험이 증가된 상태
2) 광선치료 시 피부자극 및 체위변경으로 인한 손상 예방 간호 적용 가능

 

4 저체온 또는 고체온의 위험
1) 정의: 신생아가 환경 변화에 따른 체온 조절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
2) 광선치료 또는 복부노출 등으로 체온 변화 감시 필요

 

5 부모 역할 수행 장애 위험성 
1) 정의: 부모가 자녀 돌봄에서 효과적인 역할 수행이 어려울 위험이 있는 상태
2) 황달에 대한 불안, 정보 부족 등으로 교육과 심리적 지지 간호 필요


※ 여기서 잠깐! 신생아황달은 보통 <고빌리루빈혈증 위험성(00141)>을 중심으로 다루며,
   상황에 다라 보조 진단을 병행합니다.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PART 02]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사례 - 2025 NANDA 간호진단 기준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보호자: “피부가 노래졌어요. 잘 먹고 있는데 왜 그런 걸까요?”

객관적 자료 
 ▶ 생후 3일 된 만삭 신생아, 출생 시 체중 3.1kg
 ▶ 얼굴과 흉부에 황달 관찰
 ▶ 총 빌리루빈 수치 12.4mg/dL
 ▶ 활력징후: T 36.8°C / HR 142 / RR 44
 ▶ 광선치료 예정
 ▶ 하루 소변 4회, 대변 1회
 ▶ 모유수유 중, 수유 간격 3시간 유지

 

2 간호목표
▶ 단기 목표: 24시간 이내 광선치료를 안전하게 시작하고 유지한다.
▶ 중기 목표: 72시간 이내 빌리루빈 수치가 10mg/dL 이하로 감소한다.
▶ 장기 목표: 합병증 없이 황달이 호전되고 퇴원한다.

 

3 간호계획 및 중재
▶ 총 빌리루빈 수치를 매일 확인하고 수치 변화 기록한다.
▶ 광선치료를 처방에 따라 정확히 시행하고, 광선 노출 시간과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수행한다.
▶ 광선치료 중 안구 보호를 위한 안대를 착용시키고 위치가 벗겨지지 않도록 확인한다.
▶ 수유량 및 수분 섭취량을 확인하고, 보호자에게 수유 간격과 수유량 유지 방법을 교육한다.
▶ 피부색과 체온, 탈수 증상(점막 건조, 피부 탄력 감소 등)을 관찰한다.
▶ 보호자에게 신생아 황달의 원인, 경과, 광선치료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질문에 답변한다.

 

4. 간호평가
▶ 광선치료가 정확히 시행되었으며 부작용은 없음
▶ 3일째 빌리루빈 수치 9.8mg/dL로 감소
▶ 체온과 수분 상태 양호함
▶ 보호자가 황달 경과와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함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PART 03]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사례 원인부터 간호중재까지!

 

세 가지 주요원인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즉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위험(Risk for Neonatal Jaundice)의 주요 원인은
생리적/발달적 요인, 병리적 요인, 기타 요인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1 생리적/발달적 요인 : 미숙아 (Prematurity), 출생 후 24시간 이내 황달 발생, 태변 배출 지연, 모유 수유 부족, 광범위한 피하 출혈 또는 두혈종

2 병리적 요인 : 용혈성 질환, 감염(패혈증, 선천성 감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어머니 당뇨병, 유전적 요인, 출생 시 저산소증/산증, 담도 폐쇄 (Biliary Atresia) 또는 기타 간 질환 등

3 기타 요인
▶ 형제 중 황달 치료력이 있는 경우
▶ 출생 체중이 낮은 경우
▶ 특정 인종(동아시아계 신생아가 백인 신생아보다 황달 발생률이 높음)


증상 
▶ '고빌리루빈혈증 위험'은 아직 황달이 나타나지 않은 '위험' 상태이므로, 증상보다는 위험 요인을 사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황달이 발현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부와 공막의 황색 착색: 황달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으로, 얼굴에서 시작하여 몸통, 팔다리, 발바닥 순으로      진행됩니다.
빌리루빈 수치 상승: 혈청 총 빌리루빈(TSB) 수치 증가 (만삭아에서 5mg/dL 이상 시 황달 육안 확인 가능).
졸림, 기면: 아기가 평소보다 많이 자고, 수유 시 깨우기 힘들어 함.
수유 곤란: 젖을 잘 빨지 않거나 수유량이 감소함.
체중 감소: 수유량 부족 또는 탈수와 관련될 수 있음.
높은 음조의 울음: 신경독성 위험의 징후일 수 있음.
근력 저하 또는 과도한 긴장: 빌리루빈 뇌병증의 초기 증상.
청동색 아기 증후군: 광선 치료 시 포합형 빌리루빈이 높은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피부 변색.
대변 양상 변화: 묽거나 녹색이 섞인 노란색 변 (빌리루빈 배설 증가로 인한 것일 수 있음).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간호 중재
간호 목표는 황달 발생을 예방하고, 발생 시 빌리루빈 수치를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하며, 핵황달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1 사정 및 모니터링 
▶ 황달 육안 사정
▶ 황달계(경피적 빌리루빈 측정기, TcB) 활용
▶ 혈청 빌리루빈(TSB) 수치 모니터링
▶ 활력징후 측정
▶ 수유량 및 배설량(I/O) 기록
▶ 신경학적 증상 사정
▶ 위험 요인 사정

 

2 수유 및 영양 지원
▶ 잦은 수유 격려
▶ 효과적인 모유 수유 교육 및 지원
▶ 탈수 예방

 

3 광선치료간호
▶ 광선 치료 적용
▶ 최대한의 피부 노출
▶ 눈 보호
▶ 생식기 보호
▶ 잦은 체위 변경
▶ 체온 조절
▶ 피부 간호
▶ 대변 양상 변화 설명
▶ 충분한 수분 공급
▶ 광선 치료 중단 기준 확인

 

신생아황달 간호진단 예시로 보는 증상부터 치료방법까지!

 

치료방법 
1 광선 요법 : 피부에 축적된 비포합형 빌리루빈에 특정 파장(청록색 420-470nm)의 빛을 쬐면, 빌리루빈의 구조가 변화하여 수용성 형태로 전환됩니다. 이렇게 변환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포합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담즙과 소변을 통해 체외로 배설

2 교환 수혈 : 생아의 혈액을 소량씩 뽑아내고, 빌리루빈 수치가 낮은 건강한 공여 혈액으로 교환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과도한 빌리루빈을 신속하게 제거하고, 용혈성 질환의 경우 항체 코팅된 적혈구를 제거하는 효과

3 약물치료 : 정맥 면역글로불린 / 페노바르비탈 (Phenobarbital)

4 원인치료 : 담도 폐쇄 등 특정 기형이 황달의 원인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

 

 

지금까지!

2025 난다간호진단을 기반으로 한, 

신생아황달 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