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와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마약성 진통제는
아편에서 유래하거나 합성된 성분으로
통증 제거와 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중추신경계의 아편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통증의 전달을 억제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냅니다.
[Pethidine (페치딘)]
첫번째 마약성 진통제는
Pethidine(페치딘)입니다.
Meperidine(메페리딘)
이라고도 하는데요.
심한 통증 경감을 위해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입니다.
중추신경계(CNS)의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결합하여
진통 효과를 냅니다.
페치딘은 주사제로만 있습니다.
페치딘의 용량은
25mg/0.5mL/amp
50mg/1mL/amp이
있습니다.
[Morphine (모르핀)]
두번째 마약성 진통제는
Morphine(모르핀)입니다.
모르핀은
급성 및 만성 중증
통증 모두를 경감시키는데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입니다.
중추 신경계(CNS)의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작용하여
진통 효과를 냅니다.
(아편의 주성분)
PO, SC, IM, IV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가 가능하며,
다양한 용량이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호흡억제,
무호흡, 저혈압, 변비 등이 있습니다.
[Fentanyl 펜타닐]
세번째 마약성 진통제는
Fentanyl(펜타닐)입니다.
중추신경계(CNS)에서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작용하여
통증의 전달을 억제하여
진통 효과가 있습니다.
뇌혈관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미량의 용량으로도 진통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펜타닐은 패치형, 구강정,
주사제, 설하정 등이 있으며,
다양한 용량이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어지러움,
졸음, 피로감, 두통, 구역,
호흡억제 등이 있습니다.
마약성 진통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변비, 구역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내성, 탐닉성,
약물 의존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중추신경 억제로
호흡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호흡 수를 주의깊게 사정해야 합니다.
※ 호흡 8회/분 이하 시 해독제인 naloxone(날록손)을 투여합니다.
지금까지!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꼭 알아야 하는 약물이니,
꼼꼼하게 읽고 가세요!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마약성 진통제 종류 및 부작용 총정리!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