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약물은 각자 투여 경로에 맞는
방법으로 꼭 투약해야 하는데요.
투약 경로는 약물을 어디로,
어떻게 줄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이는 5rights에도 나와있죠!
정확한 경로(right route)
오늘은
투약경로별 의학용어와 그에 따른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봤어요!
투여경로 IV(IntraVenous)는
정맥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정맥주사로 투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응급 상황에서 약물을 빨리 주입하거나
일정한 농도와 정확한 용량으로
지속적으로 투여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혈관에 직접 투여하므로
금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죠!
투여할 때나 투여하고 나서는
IV site를 꼭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 투여 경로 IV와 관련된 의사소통 예시입니다.
fever ➡ 열
PRN ➡ 필요시
mix ➡ 섞다
투여경로 IM(IntraMuscular)은
근육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근육주사로 투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피하조직 아래에 있는 근섬유에
최소 5mm의 깊이로 침을 삽입하게 됩니다.
근육층은 피하조직에 비해
통증 감각신경이 적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부위보다 주사바늘 천자로 인한
불편감이 적은 편입니다.
근육섬유에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약물의 흡수가 빠른 편입니다.
정맥주사 > 근육주사 > 경구투여 순으로
효과가 빠른 편입니다.
※ ▲ 투여 경로 IM과 관련된 의사소통 예시입니다.
op site ➡ 수술부위
NRS ➡ 수치평가척도
(통증척도의 하나, 통증의 10점 표현법)
PRN ➡ 필요시
투여경로 SC(subcutaneous)는
피하결합 조직 내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소화효소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주사이며,
인슐린, 헤파린, 백신 등의 투여에
주로 사용합니다.
경구투여보다는 빠른 효과를 가져오며
근육주사보다는 효과가 늦게 나타납니다.
정맥주사 > 근육주사 > 피하주사 > 경구투여
순으로 효과가 빠릅니다.
※ 투여 경로 SC와 관련된 의사소통 예시입니다.
RI ➡ 속효성 인슐린
(Regular Insulin)
unit ➡ 단위
투여경로 ID(intradermal)는
표피 아래 위치한 진피조직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약물에 대한 반응들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약물 반응 정도를 비교할 수 있어서
주로 약물의 반응검사에 이용합니다.
비경구투약 중 흡수가 가장 느리며,
튜베르쿨린 반응검사, 페니실린 피부반응검사,
BCG 접종에 사용합니다.
※ 임상에서는 ID라는 용어를 잘 쓰지 않고
AST로 통용해서 쓰는 편입니다.
※ 투여 경로 ID와 관련된 의사소통 예시입니다.
anti ➡ 항생제
(ANTIbiotics)
change ➡ 변경
AST ➡ 항생제피부반응검사
(After Skin Test)
지금까지!
투약경로 의학용어 1탄이었습니다.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투약경로 의학용어 총정리! 1탄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