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징후 정상범위는 간호학, 임상실무, 병원실습 등 다양한 현장에서 필수로 알아야 할 기준입니다. 본 글에서는 연령별로 정리한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의 정상범위와 함께, 비정상 수치 발생 시 대처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활력징후 정상범위 총정리 목차 1. 활력징후란? 2. 활력징후 구성요소 3. 활력징후 정상범위 (연령별 정리표) 4. 정상범위 이탈 시 대처법 5. 마무리 요약 |
1. 활력징후란?
활력징후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이 해당됩니다. 이 네 가지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진료 기록에는 혈압-맥박-호흡-체온 순서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병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활력징후 정상범위 중에서도 혈압이나 호흡수는 상태 판단에 결정적인 요소입니다.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4900
2. 활력징후 구성요소
1) 혈압 |
혈관을 따라 흐르는 혈액이 혈관벽에 가하는 압력 |
2) 맥박 |
심장 근육의 수축 이완에 따라 나타나는 동맥의 주기적인 변화 |
3) 호흡 |
체내에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 |
4) 체온 |
신체 내부의 온도, 체내에서 물질대사의 산화 과정 결과 발생하여 몸의 표면으로 방출됨 |
3. 활력징후 정상범위 (연령별)
활력징후 정상범위를 인간의 생애 주기별로 정리했습니다. 정상범위는 각 의료기관, 교재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참고로 확인해주세요!
1) 신생아
혈압 정상수치(mmHg) : 수축기압력 60~90 / 이완기압력 30~60
맥박 정상수치(회/분) : 120~160
호흡 정상수치(회/분) : 30~60
체온 정상수치(℃) : 35.8~37.5
2) 영유아
혈압(mmHg) : 수축기압력 80~110 / 이완기압력 50~80
맥박(회/분) : 80~130
호흡(회/분) : 25~40
체온(℃) : 35.8~37.5
3) 학령전기
혈압(mmHg) : 수축기압력 80~110 / 이완기압력 50~80
맥박(회/분) : 80~120
호흡(회/분) : 20~35
체온(℃) : 35.8~37.2
4) 학령기
혈압(mmHg) : 수축기압력 80~120 / 이완기압력 55~80
맥박(회/분) : 75~110
호흡(회/분) : 18~30
체온(℃) : 35.8~37.0
5) 성인
혈압(mmHg) : 수축기압력 90~140 / 이완기압력 60~90
맥박(회/분) : 60~100
호흡(회/분) : 12~20
체온(℃) : 35.5~37.0
6) 노인
혈압(mmHg) : 수축기압력 90~140 / 이완기압력 60~90
맥박(회/분) : 60~100
호흡(회/분) : 12~20
체온(℃) : 35.5~37.0+
4. 활력징후 정상범위가 아닐 때 대처법
활력징후는 측정 부위, 측정 시간, 연령, 활동 여부, 약물 등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해 지금 측정한 수치가 정상인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먼저, 활력징후 측정 결과가 평소와 다를 때는 잘못 측정한 것이 아닌지, 활력징후에 영향을 미칠 요인이 없었는지(활동 직후 등)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1) 혈압 측정에 따른 오류
커프가 너무 좁다면 |
혈압이 높게 |
커프를 느슨히 감는다면 |
|
팔이 심장의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면 |
|
팔이 심장의 높이보다 위에 위치한다면 |
혈압이 낮게 |
커프 공기를 너무 천천히 뺀다면 |
이완기압이 높게 |
커프 공기를 너무 빨리 뺀다면 |
수축기압은 낮게 이완기압은 높게 |
- 혈압이 낮게 측정된 경우
상완혈압을 측정하였다면 팔이 심장보다 높지는 않은지 등을 확인합니다. 만약 정확하게 측정하였다면 환자에게 관련 증상은 없는지 사정하여 함께 보고합니다.
- 혈압이 높게 측정된 경우
상완혈압을 측정하였다면 팔이 심장보다 낮지는 않은지, 혈압계 커프를 헐겁게 감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정확하게 측정하였다면 환자에게 관련 증상은 없는지 사정하여 함께 보고합니다.
2) 맥박 측정에 따른 오류
맥박수가 빠르게 측정되었다면 활동 직후는 아닌지 등을 확인하고 빈맥으로 인한 다른 증상은 없는지 사정하여 함께 보고합니다.
3) 체온 측정에 따른 오류
체온 측정 방법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고막 체온 |
삽입 방법, 외이도 상태에 따라 측정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
구강 체온 |
구강으로 체온을 측정하지 않을 때 ▼ • 영아나 소아, 의식 혼돈 및 무의식 환자로 체온계를 깨물 가능성이 있을 때 • 입으로 호흡할 때 • 비위관을 갖고 있을 때 • 뜨겁거나 찬음식을 먹었을 때 • 흡연을 했을 때 |
직장 체온 |
직장 질환 및 직장 수술, 심근경색증 환자는 직장으로 체온을 측정하지 않습니다 |
액와 체온 |
• 피부 질환 및 화상을 입었을 때 액와로 체온을 측정하지 않습니다. • 피부와 밀착되지 않으면 측정 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
측정 부위가 적절한지, 체온계를 제대로 적용했는지, 체온계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정확하게 측정하였다면 체온의 변화로 인한 오한이나 식은땀, 얼굴 홍조 등을 확인하여 함께 보고합니다.
5. 마무리 요약
- 활력징후는 혈압, 맥박, 호흡, 체온 4가지로 구성됩니다.
- 각 연령별로 정상범위가 다르며, 실습 및 임상에서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 측정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오차 원인을 점검하고 환자 증상과 함께 사정해야 합니다.
활력징후 정상범위는 전반적인 환자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자주 사정하여 즉각적인 변화에 조치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활력징후 정상범위가 헷갈린다면 수첩에 메모해두어 필요할 때마다 확인하며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저장해두고, 한 번 더 복습해 보세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성자 간호유니버스
신고글 활력징후 정상범위 총정리 – 임상실무/실습 필수자료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