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난다 간호진단 목록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계신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간호진단 하는 법과 예시까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 정의 : 가스교환장애는 호흡기계 기능으로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안되고 있거나 과잉된 상태를 말합니다. 가스교환은 폐포-모세혈관막 수준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활동에 필요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제거가 원활하지 않거나 과잉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ABGA 수치, 동맥의 pH, 호흡 양상(횟수, 리듬, 깊이 등), 피부색(청색증, 창백 등)이 비정상적이거나 혼돈이 있거나, 이산화탄소 수치의 감소, 발한, 호흡곤란, 각성 후 두통, 고탄산혈증, 저산소혈증, 저상산소증, 흥분, 비익 확장, 안절부절못함, 기면, 빈맥, 시력 장애 등의 객관적 자료의 이상이 있다면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VS 비효과적 호흡양상]
많은 분들이 비정상적 호흡양상과 가스교환장애를 혼동하시는데요! 그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두 간호진단의 차이는 질병과 증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폐렴으로 예를 들면! 객담이 너무 심해 그르렁거리는 수포음이 들릴 때는 이를 비정상적 호흡음으로 보고 비효율적 호흡양상으로 진단내릴 수 있습니다.
또는 폐렴으로 인해 공기가 들어왔지만, 염증으로 인해 폐모세혈관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어려운 것은 가스교환장애로 볼 수 있습니다.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의 경우! ABGA의 수치가 객관적 자료로 있어야 하며,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을 키워드로 객관적 수치가 있는지를 잘 살펴봐야 합니다.
지금까지!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간호학과 필수개념! 가스교환장애 간호진단 총정리!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