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주사(IM)란?
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층에 주입해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피하지방보다 혈류 공급이 풍부하여 약물 작용이 빠르며, 일정량 이상의 약물을 투여할 때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근육과 신경, 혈관을 고려한 정확한 부위 선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1. 둔근의 배면 (dorsogluteal site)
위치
엉덩이의 위쪽 바깥 부분으로, 엉덩이 전체를 4등분했을 때 상외측(위바깥쪽) 사분면에 해당합니다.
대전자(greater trochanter)와 후상장골극(PSIS)을 연결한 선 위 상외측에 위치합니다.
특징
◾ 장점: 넓은 근육층으로 약물 흡수에 유리
◾ 단점: 좌골신경(sciatic nerve)이 근처에 있어 손상 위험이 있음
◾ 주의사항: 반드시 위치를 정확히 잡아야 신경 손상 예방 가능
2. 둔근의 복면 (ventrogluteal site)
위치
대전자와 장골능(iliac crest)의 교차점, 손바닥을 대전자에 두고 검지와 중지를 벌려 중지가 장골능 위에 닿게 한 부위입니다.
특징
◾ 가장 안전한 근육주사 부위로 간주됨
◾ 좌골신경이나 대혈관으로부터 멀어 신경 손상 위험 낮음
◾ 근육층 두꺼움, 약물 흡수도 우수
◾ 근육량 적은 성인 여성이나 노인에게도 적합
3. 외측광근 (vastus lateralis)
위치
허벅지 바깥쪽, 대퇴부의 외측 중간 1/3 지점.
엉덩이에서 무릎까지 이은 선을 3등분했을 때 중간 부위입니다.
특징
◾ 영유아나 소아의 추천 근육주사 부위
◾ 좌골신경 위험 없음
◾ 근육량이 많고 주사 접근이 쉬움
◾ 단점: 주사 후 통증 호소 많을 수 있음
4. 대퇴직근 (rectus femoris)
위치
허벅지 앞쪽, 대퇴사두근(quadriceps femoris)의 일부
엉덩이에서 슬개골을 이은 선상 중간 부위
특징
◾ 외측광근에 비해 신경 손상 위험 있음
◾ 환자 스스로 주사 시 활용 가능
◾ 활동성 많은 근육이라 통증 발생 가능성이 높음
◾ 근육 내 혈관과 신경이 분포해 있어 정확한 주의 필요
5. 삼각근 (deltoid muscle)
위치
어깨의 외측, 견봉(acromion) 아래 약 2.5~5cm 부위
팔을 벌렸을 때 가장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부분
특징
◾ 소량 주사(1ml 이하)에 적합
◾ 간편하고 접근성 뛰어나며, 예방접종에 자주 사용
◾ 혈관과 신경 밀집 부위로 정확한 위치 확인 필수
요약
근육주사 부위 | 신경손상 위험 | 주사량 | 특징 |
---|---|---|---|
둔근 배면 | 있음 | 3~5ml | 전통적이나 신경손상 주의 |
둔근 복면 | 거의 없음 | 3~5ml | 가장 안전, 넓은 근육층 |
외측광근 | 없음 | 2~5ml | 소아에 적합 |
대퇴직근 | 있음 | 2~4ml | 자가주사 가능하나 통증 큼 |
삼각근 | 있음 | ≤1ml | 소량 주사, 예방접종용 |
근육주사 시 주의사항
✅ 근육주사 시 주삿바늘은 90° 각도로 삽입합니다.
✅ 삽입 후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당겨 혈액이 역류하는지 확인합니다.
: 혈액이 역류하면 혈관에 잘못 삽입된 것이므로, 즉시 주삿바늘을 제거하고 새로운 부위에 다시 주사해야 합니다.
✅ 성인에게 근육주사를 시행할 경우 주로 둔근을 사용합니다.
✅ 둔근 발달이 미완성된 아동은 외측광근을 주사 부위로 선택합니다.
작성자 간호매니저
신고글 근육주사IM에 대해 알아보자! 근육주사 부위와 부위별 특징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