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https://nurselink.moneple.com/clinicalpractice/93285167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신규간호사라면 알아두면 좋은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와 임상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BUN 검사란, 신장기능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 및 상황에서

중요한 임상적 의미를 가집니다.

신장 손상, 급성신부전, 만성신부전 등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부작용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검사는 탈수 상태,

충분한 혈액 공급이 되지 않는 상황,

급성 간질환 등 신장 외적인 원인에 의한

BUN 수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

BUN의 정상수치를 알아볼까요?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BUN의 정상 수치

연령, 성별,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일반적인 정상범위는

5-20mg/dL입니다.

이 범위는 검사를 수행하는 실험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검사 결과를 함께 제공되는

참고 범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BUN 수치와 해석]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BUN 수치가 높을 때와 낮을 때]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Creatinine(크레아티닌)]

크레아타닌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신장기능의 좋은 지표가 됩니다.

혈중 크라아타닌의 정상범위는

0.50~1.4 mg/dL 입니다.

 
[BUN/Creatinin ratio(크레아티닌 비율검사)]

크레아티닌 비율 검사는

소변에 포함된 단백질 양과

크레아티닌의 양의 비율을 계산하여

단백뇨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24시간 요단백 검사보다

편리하여 많이 사용하는 검사입니다.

BUN과 크라아티닌의 비율을 분석해

신장 외적인 원인이나 신장 기능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검사]

나트륨, 칼륨, 클로라이드 등의 농도를 측정해

신장 기능 및 수분 균형, 그리고 산-염기 균형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FR(사구체여과율)]

신장에서 혈액을 여과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신장 기능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BUN 검사의 한계와 유의점 - 첫 번째]

BUN 수치는 단독으로 신장기능을

완전하게 평가하는 데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신장 기능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BUN 검사의 한계와 유의점 - 두 번째]

BUN 수치는 신장 외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단백식 섭취, 탈수, 간질환 등의 경우

BUN 수치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BUN 검사의 한계와 유의점 - 세 번째]

BUN 수치는 연령, 성별, 근육량 등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

이러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신장 기능 평가와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BUN 검사의 뜻부터 정상범위,

한계와 유의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0
신고하기
close-icon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신규간호사 필수개념! BUN 정상수치에 대해 알아보자!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