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필수개념! 의학용어 코드블루! 의료코드 총정리!

https://nurselink.moneple.com/clinicalpractice/95835163

간호학과 필수개념! 의학용어 코드블루! 의료코드 총정리!

 

오늘은 의료코드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메디컬 드라마나 영화를 보신분들이라면

코드블루라는 단어는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우선

코드블루의 뜻에 대해 알아볼게요!

 
 

간호학과 필수개념! 의학용어 코드블루! 의료코드 총정리!

 

코드블루는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자가

생기는 경우에 발동되는데요!

환자의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즉각적인 조치 미 ㅊ소생 등의 치료가

필요해지면 원내 방송을 통해

<코드블루>임을 알리고

후에 무슨 과이며, 무슨 병동인지 알립니다.

보통 중환자 또는 상태가 좋지 않은

한자의 맥박이 뛰지 않을 때 방송하는 경우가 많은데,

즉각적인 처치와 소생이 필요한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해당과에 소속된 의료진은

모두 출동해야 하고

근처에 있는 다른 병원의 간호사들을 포함한

의료인들도 도움을 주기 위해

신속하게 이동해야 합니다.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서로 이어가며 처치하고

의사가 상황을 지휘하는 대로

약물과 산소 요법 등을 실시합니다.

이때 다른 환자들의 콜 벨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며

산소포화도와 호흡수, 혈압 등의 바이탈을 확인하고

상황을 따라 계속해서 기록을 넣습니다.

 

간호학과 필수개념! 의학용어 코드블루! 의료코드 총정리!

코드블루 뜻과 함께 다른 의료코드들의

뜻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의료코드는 긴급한 공지사항이 발생했을 때

원내에 알리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의료코드입니다.

코드 뒤에 색깔을 붙어 구별하여 상황을 알리는데요.

의료코드의 뜻은 병원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코드레드]

일반적으로 화재가 일어난 경우에 쓰이는 코드입니다.

재난 대비 훈련용으로 발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때에는 직원들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하시면 됩니다.

서울 아산병원의 경우

코드블루가 소아에게 발생할 경우

코드 레드를 사용하는 반면,

서울 성모의 경우에는 소아 코드블루를 사용합니다.

 

[코드그린]

긴급 대피 명령이나 메르스, 코로나19와 같은

법정 전염병 의심 환자가 병원에 오거나

감염내과 등에 내원 혹은 입원 환자가

법정 전염병 감염이 의심될 경우

대피 명령으로 코드 그린이 발령됩니다.

 

[코드오렌지]

재난 또는 재해로 인해 대량의 사상자가

발생했을 때 사용합니다.

이때 환자가 너무 많이 발생되었거나

의료진이나 의료물품이 부족한 상황에는

코드 블랙을 쓸 수도 있습니다.

 

[코드클리어]

코드 상황들이 종료되고 해제되었을 때

사용되는 의료코드 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응급코드 종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0
신고하기
close-icon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간호학과 필수개념! 의학용어 코드블루! 의료코드 총정리!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