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표적인 쇼크 원인과 쇼크 증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쇼크의 정의부터 저혈량성 쇼크, 심인성 쇼크, 분포성 쇼크 3가지 쇼크의 증상까지
오늘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해요!
먼저 쇼크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까요?
쇼크가 발생하는 이유
순환계 기능 부전으로 인해 조직으로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못해
세포 수준의 대사 장애가 초래되는 상태를 쇼크라고 하는데요.
혈액 감소, 심박출량 감소, 혈액 재분포의 이상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신체는 스스로 위기 상태임을 감지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키게 되는데요.
이때 증상으로 피부 및 내장 혈관 수축, 빠른 맥, 빠른 호흡, 식은땀이 나게 됩니다.
쇼크 상태가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세포의 비가역적 손상으로 인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어
빠른 진단과 처지가 중요합니다.
쇼크의 원인과 증상
① 저혈량성 쇼크 (Hypovolemic shock)
혈액이나 혈장의 급격한 손실 또는 화상이나 외상으로 인한 대량의 출혈로 인해
순환 혈액량이 부족해지고 심박출량이 감소하여 생기는 쇼크 상태를 말합니다.
▶ 저혈량성 쇼크의 원인
- 출혈성 : 외상성 출혈 (예: 교통사고), 위장관 출혈, 자궁출혈, 간파열, 대동맥 파열 등
- 비출혈성 : 심한 탈수 (구토, 설사, 이뇨제 과다 사용), 화상, 췌장염, 복강 내 체액 삼출 등
▶ 저혈량성 쇼크의 증상
불안감, 창백함, 차가운 피부, 빠른 맥박, 그리고 말초순환 저하의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지속되면 저혈압과 의식 저하, 청색증, 호흡곤란, 다발성 장기 부전 등으로 변화하게 됩니다.
▶ 출혈의 심각성에 따른 중증도 분류
|
1 |
2 |
3 |
4 |
출혈량 |
<750ml |
750~1500ml |
1500~2000ml |
> 2000 mL |
심박동수(회/분) |
정상 또는 약간 증가 |
>100 |
>120 |
>140 |
호흡후(회/분) |
정상 |
20~30 |
30~40 |
>35 |
수축기혈압(mmHg) |
정상 |
정상 |
감소 |
심하게 감소 |
임상적 증상 |
정상 활력 징후, 약간의 불안 |
맥압감소 불안 |
빈맥 심한 흥분상태 저혈압 |
심한빈맥 심한 의식저하 무뇨 |
② 심인성 쇼크 (Cardiogenic shock)
심장이 수축 기능을 상실하거나 심박출량이 급격히 저하되어
조직에 충분한 산소와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쇼크 상태를 말합니다.
경색증과 같은 심근 손상, 심장 압전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압력 또는
폐색전증과 같은 유출통로 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박출부전으로 발생됩니다.
▶ 심인성 쇼크의 원인
- 심근 수축력 저하 : 급성 심근경색(MI), 심부전(좌심실 기능부전), 심근염, 심근병증
- 판막 이상 : 급성 승모판 폐쇄부전, 대동맥 협착증, 인공판막 기능부전
- 심장 박동 이상 : 심한 서맥, 심실빈맥(VT), 심실세동(VF), 완전 방실차단
- 심장 기계적 문제 : 심실중격 파열, 심장 파열, 심낭압전
▶ 심인성 쇼크의 증상
저혈압, 심한 빈맥 또는 서맥, 찬 피부, 청색증, 호흡곤란, 폐울혈, 소변량 감소, 의식 저하 등이 있습니다.
▶ 심인성 쇼크 치료 약물
계열 |
약물 |
목적 |
이노트로픽 약물 |
Dobutamine, Milrinone |
심수축력 증가 |
혈압상승제 |
Norepinephrine |
저혈압 보조 |
전부하/후부하 약물 |
이뇨제, 니트로글리세린 |
폐울혈 감소, 심장 부담 감소 (단, 저혈압 시 주의) |
③ 분포성 쇼크 (Distributive shock)
혈관의 비정상적인 확장 또는 혈류 분포 이상으로 인해,
실제 혈액량은 정상 또는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직 관류가 저하되는 쇼크 상태를 말합니다.
혈관 확장의 원인이 무엇이냐에 따라 신경성 쇼크, 패혈성 쇼크,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나뉘게 됩니다.
▶ 분포성 쇼크의 원인
- 신경성 쇼크
: 외상, 마취 등으로 인한 교감신경 차단이 주원인으로
서맥, 저혈압, 체온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혈압 지지제, 수액 그리고 체온 유지를 해줍니다.
- 패혈성 쇼크
: 감염(그람음성균)이 주요 원인으로 발열, 빠른 호흡, 빠른 맥박, 저혈압,
고젖산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 투여, 수액과 혈압약을 투여합니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 음식, 약물, 곤충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주요 원인으로 두드러기, 기도 부종, 호흡곤란, 저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에피네프린 IM, 항히스타민, 스테로이드, 수액 투여를 해줍니다.
▶ 분포성 쇼크의 증상
저혈압 (MAP < 65 mmHg), 신경성 쇼크인 경우 빈맥 또는 서맥, 말초 순환 저하,
젖산 상승,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지금까지 쇼크 증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임상에서 쇼크 증상은 다양한 상황에서 접할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에
이번 시간을 통해 주요 쇼크 증상에 대해 다시 한번 더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자료 참고 : 경희대학교 건강센터]
http://healthsc.khu.ac.kr/board/bbs/board.php?bo_table=04_01&wr_id=19&page=2
작성자 익명
신고글 저혈량성 쇼크, 심인성 쇼크, 분포성 쇼크의 원인과 증상 총정리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