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호우특보란 무엇인가요?

 

호우(豪雨)란 단기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기상청은 일정 강우량 기준을 넘으면 호우특보(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령합니다.


호우주의보: 6시간 동안 60mm 이상 예상 시
호우경보: 6시간 동안 110mm 이상 예상 시

폭우는 침수·산사태·붕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수입니다.

 

 

 


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호우특보 시 행동요령

 

1) 사전 준비사항

• 재난정보 수신 수단 준비(TV, 라디오, 안전디딤돌 앱 등)
• 가족과 대피 계획 수립: 대피소 위치, 이동 경로, 다시 만날 장소 정하기
• 주변 점검: 배수로·비탈면·축대 균열 여부 확인 및 보수
• 비상용품 준비

   - 3일간 생존 가능한 식량·식수·약품·손전등·충전기 등

   - 차량 연료 확보 또는 이웃과 이동 약속

• 배수구 청소, 지하주차장 침수 대비
• 차량은 고지대로 이동, 연락처 비치
• 농촌은 논둑 정비, 물꼬 조정(※비 오기 전)

 

2) 호우특보 중 행동요령

• 외출 자제 및 실시간 기상 상황 파악
• 가족·이웃 간 연락으로 안전 여부 확인
• 침수 도로·지하차도 등 접근 금지 및 주변 사람에게 알리기
• 급류, 계곡, 공사장, 전신주, 신호등 등 위험지역 회피
• 산사태 징후 발견 시 경보 없어도 즉시 대피
• 전기·가스 차단, 물 찬 경우 고지대 또는 대피소 이동
• 정전 시 양초 대신 손전등 사용
• 대피 시 노약자·장애인과 함께 이동

 


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감염병 예방 수칙

• 손 자주 씻기(외출 후, 식전, 배변 후 30초 이상)
• 끓인 물 또는 포장된 물만 마시기
• 의심 음식 용기는 세척 또는 폐기
• 음식은 반드시 가열, 보관 시 주의
• 설사·상처 있는 사람은 조리 제외
• 밝은 옷·모기장·기피제 사용으로 모기 물림 방지
• 침수지역 작업 시 방수복 착용, 노출 부위는 세척
• 눈이 불편할 땐 손대지 말고 전문 진료
• 발열·설사 시 진료 및 보건소 신고

 


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주요기관 연락처 안내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
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시설 등 안내
3. 유관기관 연락처 및 홈페이지
∙ 재난신고 119,
∙ 범죄신고 112,
∙ 민원 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2~3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http://www.mois.go.kr

∙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www.safekorea.go.kr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안전디딤돌’
∙ 행정안전부 044)205-5237, http://www.mois.go.kr
∙ 기상청 02)2181-0503, http://www.kma.go.kr
∙ 고용노동부 044)202-7746, http://www.moel.go.kr
∙ 보건복지부 044)202-2652, http://www.moe.go.kr
 (질병관리본부 043)719-7265, http://www.cdc.go.kr)
∙ 농림축산식품부 044)201-1474, http://www.mafra.go.kr
∙ 농촌진흥청 1544-8572, http://www.rda.go.kr
∙ 해양수산부 044)200-5617, http://www.mof.go.kr
∙ 교육부 044)203-6355, http://www.moe.go.kr
 
 

호우특보·폭우·홍수 경보 속 생명 지키는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수칙은?
 
호우특보는 단순한 기상 정보가 아니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신호입니다.
사전 준비부터 행동요령, 감염병 예방까지 미리 알고 실천하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첫걸음입니다.
가족, 이웃과 함께 정보를 나누고 모두가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함께 대비해 주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