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https://nurselink.moneple.com/nurse_talk/106660845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본간호학에서 배웠던 환자의 자세(체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상에서 환자의 증상에 따라 자세를 변경해 줘야 하기 때문에

간호사와 실습을 나가는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자세(체위)의 종류와 목적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환자의 자세를 유지해 줘야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까요?

 

환자에게 자세를 취하게 하는 이유는?

 

첫 번째, 불편감, 통증을 완화하고 낙상을 예방하고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 있습니다.

 

두 번째, 혈액순환과 호흡 개선을 개선하고 위 내용물 역류 방지하며,

장운동 촉진, 배뇨/배변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 있습니다.

 

세 번째, 수술, 검사, 간호 처치 시 적절한 노출과 접근성 확보해 검사 및 처치의 용이성을 위함이 있습니다.

 

자세 유지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해부학적 자세를 위한 기본은 좋은 신체선열의 유지.

- 관절은 약간 굴곡시키고 신전이 오래되지 않도록 함.

- 적어도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할 것. (욕창 예방)

- 금기사항이 없는 한 매일 운동이 필요.

- 체위 변경 시 관절의 가동력을 이용한 ROM(관절 가동 범위) 운동 실시.

- 대퇴 외전 예방 : 모래주머니, 대전자 두루마리 사용.

 

장기간 체위 유지로 인해 환자에게 기형 또는 욕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자세를 변경하고 13~4회 이상 관절 가동 범위 운동을 유도해 줘야 합니다.

 

 

환자의 자세의 종류는?

 

 

[앙와위 자세 (Supine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환자가 등을 대고 수평으로 반듯하게 눕는 자세.

환자가 등을 바닥(침대)에 대고 반듯하게 눕는 가장 기본적인 체위로 필요에 따라 베개나 지지대를 이용해 자세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목적 

흉곽 수술, 복부 수술, /하지 수술 시

 

▶ 주의 사항

- 천골, 발꿈치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어 욕창 위험이 있으므로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이 필요.

-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 혀가 기도를 막을 수 있어 고개를 약간 옆으로 돌려주거나,

   기도 확보를 위한 기도유지 기구 사용이 필요.

- 경추와 요추의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머리, 무릎 아래에 베개나 쿠션을 넣을 수 있음.

 

 

[심스 자세 (Sims’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 측위와 복위의 중간. 위쪽 팔은 앞으로, 아래쪽 팔은 뒤로 아래쪽 다리는 무릎을 약간 굽힌 자세

 

▶ 목적 

: 관장, 좌약 투여, 항문·직장 검사 시

 

▶ 주의 사항

- 팔과 어깨, 무릎 등 한쪽 부위에 압박이 집중될 수 있으므로 베개나 쿠션으로 지지 필요.

- 항문, 생식기 노출 가능성이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요.

- 한쪽으로 기울어진 자세이므로 침대 난간 설치 필요.

- 자세가 꼬일 수 있으므로 척추와 고관절 정렬 유지 중요.

 

 

[복위 자세 (Prone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린 상태에서 머리를 옆으로 돌린 자세

보통 머리 옆으로 팔을 굽히거나 양옆으로 펼침

 

▶ 목적 

척추, , 둔부 등의 치료 및 수술 시

 

▶ 주의 사항

- 얼굴이 침구에 눌려 기도 폐쇄 위험이 있어, 머리 방향을 바꿔주거나 기도 확보 기구 필요.

- 가슴, 무릎, 발 등에 지속적인 압박이 생기지 않도록 쿠션이나 패드 사용.

- 뺨, 이마, 가슴, 무릎, 발등 등 접촉 부위에 욕창 발생 여부 관찰 필요.

 

 

[슬흉위 자세 (Knee-chest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무릎을 꿇는 자세에서 양쪽 무릎을 벌리고 허벅다리를 수직으로 세우고 

머리와 가슴의 윗부분을 바닥에 대는 자세

 

▶ 목적 

항문이나 직장 시술 시, 산부인과 환자

 

▶ 주의 사항

- 가림막, 설명 등으로 프라이버시 보장 필수.

- 무릎과 팔꿈치로 지지하기 때문에 넘어질 위험 있어 침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전 조치.

- 심혈관 질환 환자의 경우 자세로 인해 순환계에 부담을 줄 수 있음

 

 

[배횡와위 자세 (Dorsal recumbent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앙와위에서 양쪽 무릎을 세우고 다리를 벌려, 발바닥은 바닥에 붙이는 자세

 

▶ 목적 

여성 인공 도뇨, 회음부 간호, 복부 검사, 질 검사 시

 

▶ 주의 사항

- 생식기 부위가 일부 노출되므로 가림막, 설명, 담요 덮기 필수.

- 정확한 자세 유지를 위해 다리 간 간격과 무릎 각도를 간호사가 조정해 주어야 함.

 

 

[쇄석위 자세 (Lithotomy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배횡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진찰대 양편에 있는 발걸이에 다리를 올려 고정시켜주는 자세

 

▶ 목적 

분만, 산부인과 검사, 도뇨, 방광경, 치질 수술 시

 

▶ 주의 사항

- 회음부가 완전히 노출되므로 가림막, 설명, 환자 동의 필수

- 장시간 자세 유지 시 정맥 울혈, 신경 손상 우려가 있어, 시간을 제한하고 지지대에 의한 압박 확인

- 침대 끝에 너무 가깝게 위치할 경우 낙상 또는 피부 손상 위험이 있음.

 

 

[파울러 자세 (Fowler's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환자가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상체를 일정 각도로 올린 자세

- (High) 파울러 자세 : 상반신 각도 60~90°

- 중간(Semi) 파울러 자세 : 상반신 각도 45~60°

- (Low) 파울러 자세 (반파울러) : 상반신 각도 30~45°

 

▶ 목적 

신경외과 두개골 수술, 호흡곤란 있는 경우, 위관영양 공급, 흡인 방지

 

▶ 주의 사항

- 천골, 좌골, 견갑골 부위 압박 지속 시 욕창 위험이 있어, 2시간마다 체위 변경 필요.

- 침대 각도가 높을수록 낙상 위험이 있어, 침대 난간 설치 및 지지 필요

- 체위 변화 시 기립성 저혈압 주의 필요.

 

 

[반파울러 자세 (Semi fowler's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앙와위 상태에서, 상체를 약 30~45도 올린 자세

 

▶ 목적 

신경외과 두개골 수술, 호흡곤란 있는 경우, 위관영양 공급, 흡인간호 시

 

▶ 주의 사항

- 천골, 좌골, 견갑골 부위 압박 지속 시 욕창 위험이 있어, 2시간마다 체위 변경 필요.

- 목, , 무릎 아래에 쿠션 사용해 자세 정렬 유지 필요.

- 호흡수, 산소포화도 등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호흡 관찰 필요.

 

 

[잭 나이프 자세 (Jack knife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환자를 엎드리게 하고 엉덩이를 올려 머리와 다리를 엉덩이 보다 낮게 하는 자세

 

▶ 목적 

항문·직장 수술, 요천추부 척추 수술 시 시야 확보 및 장기 압박 최소화

 

▶ 주의 사항

- 상체가 아래로 향해 있어 흉곽 압박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호흡기계 확인 필요.

- 자세로 인해 하지 혈류 정체, 저혈압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순환계 모니터링 필요.

-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무릎, 흉부, 얼굴, 성기 등 압박 부위에 패드나 젤 쿠션 사용.

 

 

[측위 자세 (Lateral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 옆으로 누운 자세로 무릎과 둔부를 굴곡 시킨 자세 (우측 측위, 좌측 측위)

 

▶ 목적 

정형외과 둔부수술, 비뇨기과의 신장수술, 분비물 배출, 수면 자세

 

▶ 주의 사항

- 머리, , 무릎, 발목 사이에 베개나 쿠션을 두어 피부 압박 최소화

- 측면에 체중이 집중되므로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어깨, 엉덩이, 무릎 바깥쪽 피부 상태 확인 필요

- 혀가 기도를 막지 않도록 머리를 약간 뒤로 젖혀 기도 확보 필요.

 

 

[트렌델렌버그 자세 (Trendelenburg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앙와위에서 발끝을 높여 어깨가 다리보다 낮아지는 자세

 

▶ 목적 

정맥관 삽입 보조, shock치료, 적용 하복부 수술, 골반 수술, 하지 출혈 시

 

▶ 주의 사항

- 폐에 압박이 가해져 호흡 곤한 유발될 수 있어 주의 필요.

- 두개내압 상승 위험으로 뇌출혈, 두부외상 환자에게는 금지

- 위식도 역류 가능성이 있어, 금식 또는 비위관 관리가 필요.

- 짧은 시간만 유지해야 하며, 장시간 사용은 위험.

 

 

[변형된 트렌델렌버그 자세 (Modified trendelenburg position)]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 설명 

앙와위에서 하지 쪽을 높여 머리와 가슴은 일직선으로 둔부가 굴곡 되게 하는 자세

 

▶ 목적 

중심정맥관 삽입, shock치료, 하복부 수술, 골반 수술, 하지 출혈 시

 

▶ 주의 사항

- 기존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 필요.

- 혈류가 과도하게 집중되지 않도록 시간제한 필요.

- 높은 다리 위치로 인한 과도한 혈류 증가 방지를 위해 혈압, 맥박 등 모니터링 필요.

 

 

지금까지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다양한 환자 자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습을 나가는 간호학과 학생 또는 신규 간호사 선생님들께 오늘의 정보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음에도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을 위한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말랑 간호 지식] 저혈량성 쇼크, 심인성 쇼크, 분포성 쇼크의 원인과 증상 총정리

https://nurselink.moneple.com/free/106553963

0
0
신고하기

작성자 말랑간호지식

신고글 앙와위 자세, 파울러 자세 등 환자의 자세 총정리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