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https://nurselink.moneple.com/free/100673123

GCS 의식수준은 간호학과 실습뿐만 아니라 임상에서도 아주 중요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실, 신경과 등등에서는 필수로 사용하는 의식 사정 방법이며, 의료진끼리 점수로 소통하게 됩니다.

환자의 의식상태를 확인하는 척도인 GCS평가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이 점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GCSGlasgow Coma Scale, 의식장애의 수준을 눈뜨기, 언어, 운동3가지 기능을 4단계에서 6단계로 점수화하는 방법입니다. GCS 의식수준의 영역별 평가 척도를 아래에서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Eye Opening / 눈뜨기 기능]

눈뜨기 기능에 관한 평가는 총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 자발적으로 눈을 뜨는 경우 → 4 (왔을 때 눈을 뜨고 있는 등)

▶ 부르면 눈을 뜨는 경우 → 3 (음성에 의해 눈을 뜨는 경우)

▶ 통증 자극에 의해 눈을 뜨는 경우2 (손톱 끝으로 아프게 누르면 눈을 뜨는 등)

▶ 전혀 눈을 뜨지 않는 경우 → 1 (어떻게 해도 눈을 뜨지 않음)

 

[Verbal Response / 언어 기능]

다음은 언어 기능입니다. 언어 기능에 관한 평가는 총 5단계로 이루어집니다.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 지남력이 있는 경우 → 5 (의사소통이 잘됨)

▶ 혼돈된 대화를 하는 경우 → 4 (“여기가 어디예요?” 물었을 때 학교요처럼 문맥은 맞지만 답은 틀릴 때)

▶ 부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 3 (“여기가 어디예요?” 물었을 때 사과요처럼 문맥도 이상할 때)

▶ 이해할 수 없는 언어를 쓰거나 신음하는 경우 → 2 (“으으..” 이러한 소리만 낼 때)

▶ 전혀 소리를 내지 않는 경우 → 1 (아무 말도 없을 때)

 

참고로, 기관내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의 경우,

endotracheal이나 tracheal (T)라고 점수를 매기지 않고 선택합니다.

 

기관내삽관과 기관절개술은 아래에 서울아산병원에서 정리한 의료정보를 참고하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Motor Response / 운동반사 기능]

마지막으로 운동반사 기능입니다. 운동반사 기능에 관한 평가는 총 6단계로 이루어집니다.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 → 6 (“팔 들어보세요하면 드는 경우)

▶ 통증에 국소적 반응이 있는 경우 → 5 (손톱을 아프게 누르면 손을 뿌리치는 등)

▶ 자극에 움츠리는 경우 → 4 (손톱을 아프게 누르면 옆으로 피하는 등)

▶ 부적절한 굴곡반응을 보이는 경우 → 3 (팔이 오므라져 있는 등)

▶ 부적절한 신전반응을 보이는 경우 → 2 (팔이 쭉 펴져 있는 등)

▶ 전혀 움직이지 않는 경우 → 1 (전혀 안 움직이는 경우)

 

 

[GCS 의식수준 최종 합산]

GCS 점수는 눈뜨기 기능 + 언어 기능 + 운동반사 기능 세 가지 항목의 점수 합계점coma scale로 합니다.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GCS최고 점수는 15이 나오게 되며, 최저 점수는 3이 나오게 됩니다.

눈뜨기, 언어, 운동반사 세 가지 항목의 점수 합계가 7점 이하인 경우, 심각한 뇌손상으로 판단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평가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실습과 임상 등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의식사정 방법이니 꼭 알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0
0
신고하기

작성자 익명

신고글 GCS 의식수준 점수 해석법 완벽 정리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