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ABGA의 의미, 검사 방법부터 ABGA 정상수치 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ABGA에 대해 다시 한번 정리하고 공부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ABGA(동맥혈가스분석검사)란?
동맥에서 혈액을 뽑아 분석하는 혈액검사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혈액의 PH, 이산화탄소, 산소, 중탄산염 농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동맥혈가스 검사를 진행합니다.
산소요법(저용량, 고용량)을 적용하는 사람 특히, 고용량의 산소요법을 적용하는 환자에게는 ABGA는 중요한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ABGA 분석 상. 호흡성 산증(Respiratory Acidosis), 호흡성 알칼리증(Respiratory ),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을 판단하기도 합니다.
ABGA 검사 방법
주로 손목 안쪽의 요골동맥을 통해 동맥혈을 채취하며, 팔꿈치의 상완동맥이나 서혜부의 대퇴동맥을 통해 채혈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경우 발꿈치의 모세혈관에서 채혈하고, 신생아에서는 제대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산소나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의 경우 치료 방법이 변경되면, 변경된 치료가 최소 30분 동안 이루어진 후 동맥혈가스검사 검체를 채취합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nurse.org/
ABGA를 시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상자에게 ABGA 목적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2) ABGA 천자 할 부위를 선택합니다.
3) Allen's Test를 시행합니다. (천자 부위가 Radial 일 경우)
4) ABGA Syringe를 개봉 후, 45~90도 각도로 유지하면서 동맥을 천자합니다.
5) 천자 후 바늘 제거 후, 뚜껑으로 입구를 막습니다. (Air, Bubble 제거한다. 공기 섞이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6) 종이컵에 얼음을 넣어 Syringe를 넣어둡니다. (바로 ABGA 기계에 적용한다면 할 필요가 없다.)
7) 천자한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압박합니다.
8) 압박 후, 지혈이 다 되었다고 할때, 맥박을 촉지 후 천자 부위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ABGA를 시행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채혈을 한 후에는 채혈 부위를 적어도 5분간 압력을 주어 지혈해야 합니다.
2) 동맥으로 혈액이 확산되어 나가므로 출혈이 멈추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습니다.
ABGA 정상수치
산도(pH)
• 혈액의 산염기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 산증(acidosis): 호흡성 혹은 대사성 산증(acidosis)에 의해 발생
• 염기증(alkalosis): 호흡성 혹은 대사성 염기증(alkalosis)에 의해 발생
• 산증과 염기증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 존재. pH가 정상범위라고 하더라도(산혈증이나 염기혈증이 없더라도) 산증 혹은 염기증이 없다고 할 수는 없음
▶ 정상범위
• 동맥혈 pH 7.35-7.45
• 정맥혈 pH 7.32-7.38
• 7.35 이하: 산혈증(acidemia)
• 7.45 이상: 염기혈증(alkalemia)
이산화탄소분압 (pCO2)
• 혈중 이산화탄소의 양
• 폐에서 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의 정도 반영
• 저이산화탄소혈증(hypocapnea): <35 mmHg → 과호흡(hyperventilation) 혹은 혹은 호흡성 염기혈증 시사
• 고이산화탄소혈증(hypercapnea): >45 mmHg → 저호흡 혹은 호흡성 산증 시사
▶ 정상범위
• 35-45 mmHg
산소분압(pO2)
• 혈액 중 산소의 양
• 고산소혈증(hyperoxidemia): 110 mmHg 이상
• 저산소혈증(hypoxemia): 80 mmHg 이하
- 경도 저산소혈증: 60 mmHg
- 중등도 저산소혈증: 40 mmHg
- 고도 저산소혈증: 40 mmHg 이하
• 산소 부족은 산염기 장애와 밀접한 연관
- 호흡 증가 → 호흡성 염기혈증
- 조직 내 산소 공급부족 → 대사성 산혈증
▶ 정상범위
• 80-110 mmHg
중탄산염 (HCO3-)
• 혈장내의 음이온 중 염소이온 다음으로 많은 음이온
• 중탄산염 탄산완충계를 표시하는 지표
• 케토산증(ketoacisosis) 같은 대사성 문제점의 유무를 알려주는 지표
• 대사성 염기증: 28 mmHg 이상
• 대사성 산증: 22 mmHg 이하
▶ 정상범위
• 22-26 mmHg
Base excess(BE)
• PaCO2= 40 mmHg, 37℃에서 완전 소화된 1L의 혈액을 pH 7.4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strong acid의 양
• 혈액중의 Hb을 제외한 염기(HCO3-)가 정상보다 많은지 적은지 나타내는 지표
• 계산식(BE) = 정상 buffer base - 환자의 buffer base
• base excess/deficit
- Positive base = 염기 증가; 대사성 염기증 및 보상된 호흡성 산증
- Negative base = 염기 부족, 대사성 산증 및 보상된 호흡성 염기증
▶ 정상범위
• 정상 ± 2
SaO2 (O2 Saturation)
• PaO2에 의해서 예측 가능
• 동맥혈 산소 분압(PaO2)과 산소 포화도(SaO2)
지금까지 ABGA의 의미, 검사 방법부터 ABGA 정상수치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간호학과 학생 또는 신규간호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 또 도움되는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작성자 익명
신고글 ABGA(동맥혈가스분석검사) 정상수치, 검사방법 등 총 정리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