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라면 꼭 알아야 하는 약물들이 몇 가지 있는데요!
오늘은 그중에서 <디곡신(Digoxin)>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해 볼게요!
디곡신의 의미부터 알아볼게요!
01. 디곡신이란!
심부전과 심방세동 치료에 사용됩니다.
주로 심장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조절하는 작용을 해요.
디곡신은 안전범위가 좁은 약제이므로,
농도의 면밀한 감시가 필요한 약물입니다.
처방되는 디곡신의 양은
측정된 디곡신의 농도에 따라 조절됩니다.
=========================================
★ 주요 적응증 ★
심부전(Heart Failure) : 심장 수축력 강화로 심박출량 증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심방 전도 억제로 심박수 조절
=========================================
※ 단독보다는 베타차단제나 ACEi/ARB와 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02. 디곡신 용량 및 투여
1) 정맥투여(IV) 또는 경구투여(PO) 가능
2) Loading dose (적재용량) 사용 시 빠른 효과
3) 유지용량은 환자의 신기능, 체중, 연령에 따라 조절
※ 치료 농도 범위(Therapeutic range): 일반적으로 0.5 ~ 2.0 ng/mL
03 디곡신 검사란?
1) 어떻게 활용될까?
디곡신 농도 검사(Digoxin level test)는 디곡신을 복용 중인 환자의 혈액에서 약물 농도를 측정하는 검사예요!
검사의 목적을 알아볼게요!
▶ 디곡신의 적절한 치료 농도 유지 여부 확인
▶ 중독 증상(오심, 구토, 부정맥 등) 의심 시 진단 보조
▶ 약물 농도 변화 요인을 파악 (신기능 저하, 다른 약물 상호작용 등)
2) 언제 처방될까?
▶ 최초 투여 후 5~7일 이내 혈중 농도 안정화 시점에 측정
▶ 투약 후 최소 6~8시간 경과 후에 채혈해야 정확한 수치 확인 가능
(최고 농도 피해서 평가)
▶ 디곡신의 농도에 따른 증상
농도가 너무 낮은 경우 : 피로, 숨참, 발의 부종 등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 : 어지러움, 시야가 흐릿함, 황색 또는 녹색 테두리가 보임, 구토, 설사,
불규칙한 심박동 등
3) 정상 참조 범위
▶ 성인 심부전 치료 : 0.5 ~ 0.9 ng/mL(치료 농도 범위)
▶ 심방세동 조절 : 0.8 ~ 2.0 ng/mL
※ 2.0 ng/mL 이상이면 중독 가능성 증가 → 즉시 의사 확인 필요
4. 디곡신의 중독 증상
디곡신은 심장에 작용하는 약물이며,
독성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1) 소화기: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2) 시각: 황시증(노랗게 보임), 흐릿한 시야
3) 심장: 느린 맥박, 부정맥
4) 피로감, 어지러움
지금까지!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꼭 알아야하는 필수약물 중
<디곡신(Digoxin)>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