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도뇨 핵심술기를 핵심기본간호술에서도 중요한 내용인데요!
오늘은, 단순도뇨 핵심술기의 절차부터 다양한 사례를 들어
정확한 간호술에 대해 배워볼게요!
[단순도뇨 핵심술기 정의]
단순도뇨(Simple or Intermittent Catheterization)란, 일시적으로 요도를 통해 방광에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술기입니다. 삽입 후 소변이 배출되면 즉시 도뇨관을 제거하는 것이 특징이며, 유치도뇨와는 달리 지속적인 배뇨관 유지 없이 1회성으로 시행됩니다.
[단순도뇨 핵심술기 목적]
1. 요정체 해소: 자발적인 배뇨가 어려울 때 방광의 압력 해소
2. 잔뇨량 측정: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량 확인
3. 검체 채취: 무균적으로 소변 검사에 필요한 검체를 채취
4. 수술 전후: 배뇨 어려움이나 감염 예방 목적으로 시행
[시행 전 준비사항]
1. 멸균 도뇨세트 (멸균 장갑, 윤활제, 도뇨관, 소변용기 등)
2. 10~14Fr 크기의 도뇨관
3. 손 소독제 및 처치 트레이
4. 소변 측정용 용기
5. 환자 프라이버시 확보 및 설명
[단순도뇨 핵심술기 절차]
1. 환자 확인 및 설명
▶ 환자의 이름과 등록번호 확인
▶ 술기 목적과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여 불안 감소
2. 손 위생 및 준비
▶ 비멸균 장갑 착용 후 체위(배횡와위) 유지
▶ 멸균 도뇨세트 개봉, 멸균 장갑 착용
3. 도뇨관 삽입
▶ 요도 입구 소독 (여성은 앞→뒤 방향, 남성은 원형으로)
▶ 윤활제를 바른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이 나오면 더 이상 삽입 X
▶ 소변이 충분히 배출되면 도뇨관 제거
4. 처치 후 정리 및 손위생
▶ 요도 부위 닦고, 도구 정리
▶ 소변량 기록 및 상태 보고
[단순도뇨 핵심술기 사례]
사례 1 - 수술 후 요정체 환자에게 적용
▶ 상황 :
60대 남성, 복부 수술 후 회복 중
배뇨가 없어 방광팽만과 불편감 호소
▶ 간호중재
단순도뇨 시행하여 약 500mL 배출
환자 통증 완화 및 복부 팽만 감소 확인
감염 예방 위해 멸균 술기 철저히 적용
▶핵심포인트 : 수술 후 마취나 진통제 영향으로 방광 기능이 일시 저하된 경우, 단순도뇨를 통해 요정체를 해소하고 상태 회복을 돕는다.
사례 2 - 응급실에서 급성요폐 환자
▶ 상황 :
응급실 내원 70대 남성
급성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해 요폐 발생
▶ 간호중재
단순도뇨 즉시 시행하여 약 800mL 배출
혈압 및 통증 지속 모니터링
과도한 배출로 인한 방광 충격 주의
▶ 핵심포인트 : 급성 상황에서 요로폐색 완화를 위한 즉각적인 처치로 환자 안정 도모.
사례 3 - 신체적 장애로 자가 배뇨가 어려운 환자
▶ 상황 :
지체 장애로 휠체어 생활 중인 여성 환자
스스로 배뇨가 어렵고 유치도뇨에는 거부감 있음
▶ 간호중재
자가 간헐적 도뇨 교육 제공
도뇨 스케줄 및 감염 예방법 지도
삶의 질 향상 및 자존감 유지 도움
▶ 핵심포인트 : 자가 단순도뇨(Self-Catheterization)은 독립적 생활을 위한 자립 간호 방법으로 사용
사례 4 - 신경계 손상 환자의 반복적 단순도뇨
▶ 상황 :
척수손상으로 자발 배뇨가 어려운 40대 남성
지속적 유치도뇨 대신 간헐적 도뇨 시행
▶ 간호중재
매 4~6시간 간격으로 단순도뇨 시행
매회 소변량 기록, 방광 기능 점검
피부 손상 및 요로감염 예방 관리
▶ 핵심포인트:
장기적인 유치도뇨 대신 단순도뇨를 반복 시행해 감염 위험을 줄이고, 자가 배뇨 훈련에도 활용 가능함.
지금까지!
단순도뇨 핵심술기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국시를 미리 준비하시는 분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