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치료적 의사소통과 비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먼저, 치료적 의사소통과 비치료적 의사소통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사례를 통해 의사소통의 주요기법을 알아볼게요.
치료적 의사소통 VS 비치료적 의사소통 차이점
구분 | 치료적 의사소통 | 비치료적 의사소통 |
목표 | 환자 성장, 치유 촉진, 관계 강화, 문제 해결 | 환자와의 단절, 문제 해결 방해, 관계 손상 |
태도 | 개방적, 존중적, 공감적, 수용적, 비판단적 | 판단적, 비판적, 회피적, 방어적, 무시적 |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신뢰감, 안정감, 자기 표현 증진,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불안감, 위축감, 분노, 불신, 의존성 증가 |
주요기법 | 경청, 공감, 침묵, 명료화, 반영, 개방형 질문, 정보 제공 |
조언 강요, 거짓 안심, 판단, 비판, 방어, 무시 |
치료적 의사소통
1) 치료적 의사소통 정의
치료적 의사소통은 환자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고, 환자의 치유와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간호사가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전문적인 의사소통 기법입니다.
2) 치료적 의사소통의 주요 목표가 있는데요!
▶ 환자와의 신뢰 및 라포(Rapport) 형성
▶ 환자의 감정 및 요구 이해
▶ 환자 중심의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 지원
▶ 환자의 자존감 및 자율성 증진
▶ 치유 과정 촉진
등이 있습니다.
3) 사례로 보는 치료적 의사소통 주요기법
▶ 경청 : 환자의 말과 비언어적 표현에 집중하고 이해하는 노력입니다.
사례) "네, 잘 듣고 있습니다." 또는 고개를 끄덕이며 환자의 눈을 맞춥니다.
▶ 공감 : 환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인식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그 상황이 정말 힘드셨겠네요."
▶ 침묵 : 환자에게 생각하고 표현할 시간을 주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환자가 말을 멈췄을 때 즉시 끼어들지 않고 기다려주는 것을 말합니다.
▶ 명료화 : 환자의 말이 불분명할 때 더 자세한 설명을 요청하여 이해를 명확히 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방금 말씀하신 '힘들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좀 더 설명해 주시겠어요?"
▶ 반영 : 환자의 말이나 감정을 다시 표현하여 환자가 스스로를 돌아보게 돕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지금 많이 불안하시다는 말씀이신가요?"
▶ 개방형질문 : '예/아니오'로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을 통해 환자의 자세한 생각과 감정을 이끌어내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오늘 하루 어떠셨나요?" 또는 "어떤 점이 가장 걱정되세요?"
▶ 정보제공 : 필요한 정보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여 환자의 불안을 줄이고 의사 결정을 돕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이 약은 통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 자기개방 : 간호사 자신의 경험을 간략하게 공유하여 환자와의 관계를 돈독히 하거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 (환자에게 도움이 될 때만 제한적으로 사용).
사례)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었는데, 그때는 참 당황스러웠죠."
▶ 긍정적 재구성 : 환자의 부정적인 생각이나 상황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돕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지금은 힘드시겠지만, 이 경험을 통해 더 강해지실 수 있을 거예요."
비치료적 의사소통
1) 비치료적 의사소통 정의
비치료적 의사소통은 환자와의 관계를 손상시키고, 환자의 문제 해결을 방해하며, 감정을 억압하는 등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 방식입니다. 의도치 않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간호사는 이러한 기법들을 인지하고 피하는 것이 중요
2) 주요 문제집
▶ 환자와의 신뢰 손상 및 라포 저해
▶ 환자의 감정 억압 및 표현 방해
▶ 환자 중심의 문제 해결 방해
▶ 환자의 의존성 증가 또는 저항 유발
▶ 치유 과정 지연
등이 있습니다.
3) 사례로 보는 비치료적 의사소통 주요기법
▶ 조언 / 해결책 강요 : 환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할 기회를 빼앗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그냥 제가 시키는 대로 하세요." 또는 "그렇게 생각하지 말고, 이렇게 해보세요."
▶ 거짓 안심시키기 : 근거 없이 긍정적인 말로 환자를 안심시키려 하여 환자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걱정 마세요, 다 잘 될 거예요." 또는 "아무것도 아니에요."
▶ 판단/비판 : 환자의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거나 비난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그건 잘못된 생각이에요." 또는 "그렇게 하시면 안 되죠."
▶ 방어적 태도 : 환자의 불만이나 비판에 대해 자신이나 다른 의료진을 변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저희는 최선을 다하고 있어요." 또는 "그런 일이 있을 리가 없어요."
▶ 공격/비난 : 환자에게 분노를 표현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왜 진작 말씀 안 하셨어요!"
▶ 질문 공세 : 환자가 준비되지 않았는데도 너무 많은 질문을 쏟아내거나 개인적인 질문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왜 그렇게 됐어요? 언제부터 그랬어요? 누구랑 왔어요? (쉬지 않고 질문)"
▶ 거부/무시 : 환자의 감정이나 경험을 부인하거나 대화 주제를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그 얘기는 그만하시죠." 또는 "별거 아니에요."
▶ 동정 : 환자의 고통에 대해 같이 슬퍼하는 감정적 반응으로, 환자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공감과 다름)
사례) "아이구, 얼마나 아프실까..."
▶ 고정관념 사용 : 특정 그룹에 대한 일반화된 의견으로 환자를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원래 나이 드신 분들은 다 그래요."
▶ 불필요한 자기 개방 : 간호사 자신의 경험을 과도하게 또는 부적절하게 공유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주거나 대화의 초점을 흐리는 것을 말합니다.
사례) "제가 예전에 만났던 환자는 당신보다 훨씬 더 심했어요."
오늘은,
치료적 의사소통과 비치료적 의사소통을 사례를 통해 알아봤는데요!
중요한 내용인만큼 한번쯤은 꼭 읽고 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