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임상실습 꿀팁! 활력징후와 혈당 측정 완벽 가이드!

오늘은, 활력징후(Vital Signs)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활력징후는 환자의 생명 유지 상태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지표로,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이 포함되는데요!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변화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선, 활력징후 정상범위부터 알아볼게요!

 

PART 01 활력징후 정상범위 

 

[활력징후(성인기준]
▶ 체온 : 36.5~37.5℃
간호학과 임상실습 꿀팁! 활력징후와 혈당 측정 완벽 가이드!

▶ 맥박 : 60~100회/분
간호학과 임상실습 꿀팁! 활력징후와 혈당 측정 완벽 가이드!

▶ 호흡 : 12~20회/분

간호학과 임상실습 꿀팁! 활력징후와 혈당 측정 완벽 가이드!

▶ 혈압 : 120/80 mmHg 전후

간호학과 임상실습 꿀팁! 활력징후와 혈당 측정 완벽 가이드!

 

[참고 - 연령별 활력징후 정상범위 분포도]

활력징후 항목 정상 범위 비고
체온 (T) 36.5℃ ~ 37.5℃ 구강 기준 / 직장은 +0.5℃ / 액와는 -0.5℃ 정도 차이
맥박 (P) 60 ~ 100회/분 요골동맥 기준 / 운동, 발열, 불안 시 증가 가능
호흡 (R) 12 ~ 20회/분 심호흡이 아닌 자연 호흡 기준
혈압 (BP) 수축기 90/80mmHg 120/80 mmHg가 가장 이상적인 기준
산소포화도 (SpO₂) 95 ~ 100% 90% 미만은 저산소증 의심
통증 (Pain) 0점 (통증 없음) NRS 0~10점 척도로 측정 (주관적 지표)

※ 성인기준으로 함.

 

지금까지, 활력징후 정상범위와 주의사항을 알아봤는데요!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연령별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생리적 특성과 수준이 다르므로, 적절한 방법과 환경에서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데요!
신생아(0~1개월) / 소아(1세~12세) / 성인(18세~65세) / 고령자(65세 이상)별로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참고해야 할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

신생아와 영유아는 호흡수와 맥박이 빠르며, 혈압은 낮은 편입니다.

소아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점차 활력징후가 성인 범위로 가까워집니다.

고령자는 기초대사율 저하로 체온이 낮고, 동맥경화 등으로 혈압은 상승할 수 있습니다.

SpO₂는 연령에 상관없이 대부분 95% 이상이 정상이며, 고령자는 말초순환 상태에 따라 일시적으로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

 


PART 02 활력징후 핵심술기

PART 01에서 활력징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PART 02에서는 활력징후 핵심술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요.
측정 항목으로는 체온, 맥박, 호흡, 혈압, 산소포화도, 통증 등이 있습니다. 
그럼, 활력징후 핵심술기 - 체온부터 알아볼게요

 

[체온 (Temperature)]

측정부위 : 구강, 액와, 직장, 고막, 이마(비접촉식)

정상 범위 : 36.5~37.5℃ (구강 기준)
핵심술기 포인트 : 측정 전에 대상자에게 뜨거운 음식을 섭취했는지 운동 후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측정을 할 때에는 같은 부위에서 일관되게 측정하며, 전자체온계를 사용할 때 

    커버를 씌운 후 소독해야 합니다. 


[맥박 (Pulse)]

측정부위 : 요골, 경동맥, 대퇴동맥 등

정상범위60~100회/분 (성인기준)
핵심술기 포인트 : 요골맥 측정이 일반적이며 30초간 측정 후 2배로 환산해야 합니다. 

    리듬과 강도도 함께 확인해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호흡 (Respiration)]
정상범위12~20회/분 (성인기준)
핵심술기 포인트 : 흉부나 복부의 움직임을 통해 측정하고 대상자가 인식하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관찰해야 합니다. 


[혈압 (Blood Pressure)]
정상범위 : 120/80 mmHg 전후
측정부위 : 상완동맥이 가장 일반적
핵심술기 포인트 : 커프는 팔둘레의 40% 너비, 80% 길이여야 합니다. 이때 커프의 위치는 

    심장 높이에 위치해야 합니다. 


[산소포화도 (SpO₂)]
정상범위 : 95~100%
측정부위 : 손가락, 발가락, 귓불
핵심술기 포인트 : 손이 차갑다면 따뜻하게 하거나 다른 부위를 측정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통증 평가 (Pain)]
도구사용: NRS(숫자통증척도), 얼굴표정척도(FPS) 등
핵심술기 포인트 : 주관적 보고에 기반하므로, 대상자의 말에 집중해야 합니다. 

    위치, 강도, 양상, 유발요인 등 구체적으로 사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활력징후와 활력징후 핵심술기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활력징후는 변화 추이를 보는 것이 중요하므로, 장기적인 기록과 비교가 필수입니다!

다음에도 더 좋은 정보로 찾아올게요! 

 

★ 활력징후 한줄 요약 ★

활력징후 - 서울아산병원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