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성뇌증은 간 기능 저하로 인해 독성 물질(특히 암모니아)이 체내에 축적되어 의식 변화, 인지장애, 운동 이상 등을 초래하는 가역적인 신경정신학적 증후군입니다.
간성뇌증의 정의부터 치료방법까지! 차례대로 알아볼게요!
[간성뇌증의 정의]
간에서 해독되지 못한 암모니아 등 질소성 물질이 뇌로 이동하여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상태인데요!
주로 간경변이나 급성 간부전 환자에게 나타납니다.
대표 증상으로는, 혼돈, 졸림, 손떨림, 혼수 등 의식 및 신경학적 변화가 있습니다.
간성뇌증의 주요 원인부터 치료방법까지 알아볼게요!
[간성뇌증의 주요 원인]
간성뇌증의 원인으로는 2가지가 있습니다.
심각한 간 기능 부전, 암모니아 축적, 간성뇌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유발 요인 등이 있습니다.
그럼, 간성뇌증의 주요 원인은 두 가지가를 알아볼게요!
1 간경변증(Cirrhosis)
▶ 가장 흔한 원인
▶ 간세포 파괴 및 문맥전신순환단락(portosystemic shunt)으로 암모니아가 간을 거치지 않고 뇌로 전달됨
2 급성 간부전(Acute liver failure)
▶ 간세포가 급속히 손상되어 해독 기능 상실
[ 간성뇌증을 유발하는 촉진요인]
1. 소화관 출혈 : 위장관 출혈 시 혈액이 장에서 분해되면서 암모니아 생성 증가
2. 고단백 식이 : 과도한 단백질 섭취는 암모니아를 증가시켜 증상 악화 가능
3. 감염 : 폐렴, 요로감염 등 감염은 전신 염증 반응 및 대사 부담 증가
4. 전해질 불균형 : 저칼륨혈증(hypokalemia), 저나트륨혈증(hyponatremia) 등이 뇌기능에 악영향
5. 변비 : 장내 체류시간 증가 → 암모니아 생성 및 흡수 증가
6. 이뇨제 작용 : 수분·전해질 불균형 유발 → 뇌 대사 악화
7. 신장 기능 저하 : 암모니아와 독소의 배설 저하
8. 알코올 섭취 : 간 손상을 가중시키고, 중추신경계 억제 효과로 혼돈 악화
9. 약물 (특히 진정제, 수면제, 마약성 진통제 등) : 중추신경계 억제를 통해 증상 악화 가능중추신경계 억제를 통해 증상 악화 가능
10. 탈수 또는 과다이뇨 : 혈액 농축, 전해질 이상으로 간 및 뇌 기능 저하
[간성뇌증의 주요 증상]
1. 주요 증상 분류 : 의식 및 인지 변화 / 수면-각성 주기 변화 / 기억력 감퇴 / 판단력 저하
2. 신경학적 징후 : 떨림 / 언어장애 / 운동 조화성 저하
3. 정서 및 행동 변화 : 불안, 과민, 무관심, 공격성 / 성격 변화 / 무기력증(apathy)
4. 기타 증상 : 수면장애 / 구토 / 혼수
※ 증상 진행 단계 (West Haven Criteria 기준)
Grade 0
명확한 증상 없음. 심리검사상 미세한 변화만 있음 (Minimal HE).
↓
Grade 1
집중력 약화, 수면-각성 주기 장애, 성격 변화, 손떨림 미미.
↓
Grade 2
느린 반응, 방향감각 상실, 명백한 손떨림, 비정상적 행동.
↓
Grade 3
졸림, 혼동 심화, 의사소통 어려움
↓
Grade 4
혼수 상태 (comatose).
☆ 간성뇌증 유발 가능 약물 : 진정제(Benzodiazepine류), 마약성 진통제, 수면제, 고단백 보충제 (간 기능 저하 환자에겐 주의) 등
[간성뇌증의 치료 방법]
간성뇌증의 치료 방법으로는 촉진요인 제거, 약물치료, 영양조절, 입원 및 집중치료 등이 있습니다.
치료방법을 하나씩 알아볼게요!
1. 촉진요인 제거
변비 치료 / 출혈, 감염, 전해질 이상 교정 / 신경 억제 약물 중단 / 과도한 단백질 일시적으로 중단
2. 약물치료
▶ Lactulose(락툴로오스) :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 장내 pH를 낮춰 암모니아를 이온화시켜 흡수 억제/배변 촉진시킴
▶ Rifaximin(리팍시민) : 재발 예방에 특히 유용하며, 장내 유해균을 억제시킴
▶ 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 : 장내 균총 개선을 통해 간성뇌증 조절에 보조적 역할을 함
3. 영양조절 : 일시적으로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며,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음
4. 입원 및 집중 치료 (중증 시) :
▶ 의식 저하가 심할 경우 병원 입원
▶ 혼수 상태 시 기도 확보, 수액 치료, 감염 조절 등 필요
▶ 중환자실 치료 고려
지금까지! 간성뇌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2
참조 : 서울아산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