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인생목표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
청년의 아픈 마음을 보듬고, 변화와 성장을 준비할 수 있도록 마음 역량을 길러주는 ‘서울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이 올해 3차 참여자 2,500명을 모집한다.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은 심리지원이 필요한 19~39세 서울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과학적 진단검사 진행 후 마음건강 상태에 따라 맞춤형 심리상담과 후속 관리를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19~39세 서울 거주 청년이면 누구나 청년 몽땅 정보통에서 신청할 수 있다. 신청기간은 6월 23일부터 26일 오후 5시까지이다.
의무복무 제대 청년들은 ‘서울특별시 청년 기본 조례’ 개정으로 최대 3년 복무기간만큼 청년정책 참여 기간이 연장되어, 복무기간에 따라 최장 42세(1982년생)까지 신청할 수 있다.
선정된 청년은 온라인 검사를 통해 마음건강 상태를 과학적으로 진단받은 후 검사 결과에 따라 일대일 맞춤 심리상담을 기본 6회(회당 50분) 받게 된다. 필요한 경우 추가 상담 4회를 더해 총 10회까지 상담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청년들의 마음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간이정신진단검사(KSCL95)와 기질‧성격검사(TCI) 두 가지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진단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음상태 유형(일반군, 도움군, 잠재임상군, 임상군)을 분류하고 일대일 맞춤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청년의 특성과 니즈에 맞춘 맞춤형 사후관리
시는 상담이 종료된 후에도 다양한 정책과 대내외 협력 프로그램을 연계해 청년들이 변화된 삶을 이뤄 나갈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청년들의 정서건강 및 신체건강 회복을 위해 정원산책, 숲 요가 등 ‘정원처방’ 프로그램과 ‘차·향·메이크업 테라피(아모레퍼시픽공감재단 협력)’ 등 힐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교육·위기사례 자문·소진예방 프로그램 운영
한편, 시는 현장에서 청년들을 직접 대면 지원하는 상담사의 교육과 관리에도 힘쓰고 있다. 청년상담 특화교육과 위기사례 자문 등 슈퍼비전을 제공해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소진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해 상담사의 재충전과 회복을 돕는 등 청년들에게 질 높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심히 관리하고 있다.
2025년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 ㅇ 지원인원 : 연간 11,000명 내외 (연간 4회, 탄력적 지원) ㅇ 모집방법 : (정기) 청년 몽땅 정보통 온라인 접수 (수시) 협력기관 신청 접수 ㅇ 선정방법 : 자격검증 (서울 거주, 연령) ㅇ 지원내용 : 1:1 심층 심리상담 (최대 10회) + 유형별 사후관리 지원 - (마음진단) 사전 심리검사(2종) 및 심층상담을 통한 마음상태 유형 분류 - (심층상담) 유형군별 1:1 맞춤 상담 지원(기본 6회, 최대 10회) - (사후관리) 유형군별 상담 후속 프로그램 제공(심리지원·신체활동·문화체험 등) 출처 : 내 손안에 서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