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 유족에 보훈수당·장례지원 확대, 청년장병에 마음건강 등 지원
올해는 광복 80주년이자, 6·25전쟁 75년이 되는 해이다. 서울시는 역사의 고비마다 나라를 지켜낸 국가유공자의 헌신과 희생에 감사하며, 보훈의 가치를 기억하고 새기는 사회를 만들고자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 청년 장병에 대한 예우를 강화해 나간다.
‘보훈수당 인상, 장례지원 확대’ 등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에 대한 예우 강화
서울시는 현재 10만 명이 넘는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에 대한 예우 강화를 위해 올해도 1,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편성하는 등 보훈 지원대상과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생존애국지사에 지급하는 ‘보훈명예수당’ 인상(월 20만원→월 100만원)을 시작으로, 2023년에는 국가유공자 본인, 선순위 유족 중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에게 지급하는 ‘생활보조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상향했다. 지난해에는 ‘참전명예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15만원으로 높였다.
올해는 ‘보훈예우수당’을 월 10만원에서 월 15만원으로 인상한데 이어, ‘참전명예수당’도 만 80세 이상 참전유공자에 대하여 월 15만원에서 월 20만원으로 인상했다.
이와 함께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의 품격 있는 마지막을 위한 국가유공자에 ‘장례 선양 서비스’도 대폭 확대한다. ‘장례 선양 서비스’는 유족 요청시 조문 의전, 태극기 전달, 고인 운구 에스코트 등 장례의전 전반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예산과 인력 부족 등으로 서비스 신청 건수의 약 40% 지원에 머물렀는데,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관련 예산을 증액, 80%까지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군 장병 마음건강, 부상 제대군인 상담센터’ 등 청년 장병 위한 맞춤 정책
서울시는 지난 2023년 5월, 국방부와 서울시 청년정책 ‘청년행복프로젝트’ 참여 기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로 서울 주둔 군부대에서 근무 중인 장병을 위한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왔다.
업무협약에 따른 주요 성과는 ▴서울 영테크 재무 상담 및 금융특강 ▴군 장병 마음건강 지원 ▴의무복무 제대군인 청년정책 참여 연령 확대 ▴청년 부상 제대군인 상담센터를 통한 원스톱 지원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