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마하 간호진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오마하 간호진단의 목록, 우선순위부터
난다 간호진단과 차이점을 살펴볼게요!
[PART 01 오마하 간호진단 - 뜻]
오마하 간호진단이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문제를 진단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오마하 간호진단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되어 있는데요!
문제 / 문제상태 / 지표입니다.
1 문제(Problem): 간호대상자의 상태나 간호가 필요한 영역
2 문제 상태(Status):
1) Actual (실제 문제 있음)
2) Potential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 있음)
3)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필요)
4) No Problem (문제 없음)
3 지표(Signs/Symptoms): 문제를 나타내는 객관적 또는 주관적 증상
그럼, 오마하 간호진단 간호진단 영역을 나열해 볼게요!
[PART 02 - 오마하 간호진단 4가지 영역]
환경영역 |
|
심리사회영역 |
|
생리영역 |
|
건강관련행동 |
|
[PART 03 - 오마하 간호진단 우선순위]
1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 여부
예: 호흡곤란, 출혈, 의식 저하 등 → 가장 높은 우선순위
2 심리적·정신적 위기
예: 자살 사고, 폭력 위험, 극심한 불안 등 → 중간~높은 우선순위
3 자기간호 결핍
예: 이동 제한, 영양 불균형, 배설 문제 등 → 중간 우선순위
4 건강관리 및 예방 필요
예: 백신 미접종, 건강지식 부족, 가족 간호 부담 등 → 중간~낮은 우선순위
5 장기적 건강 유지 및 생활습관 개선
예: 운동 부족, 식습관 불량, 수면 부족 등 → 낮은 우선순위
다음은, 오마하 간호진단과 난다 간호진단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볼게요!
항목 | 오마하 간호진단 | 난다 간호진단 |
개발목적 | 지역사회 간호기록의 통합과 표준화 | 병원 중심 간호진단의 체계화 |
사용영역 | 지역사회 방문간호, 보건소, 재가간호 등 | 병원, 요양병원 등 임상 전반 |
문제영역 | 4가지 영역 (환경, 생리, 심리사회, 건강 관련 행동) |
13개 영역 (예: 건강증진, 활동/휴식, 영양 등) |
진단 수 | 약 42개 문제(2024 기준) | 약 267개 진단(2024–2026 기준) |
진단형식 | 일반적 문제 진술 (예: 주거상태, 소화기기능, 정서 상태 등) | 진단명 + 정의 + 특성 + 관련요인 형식 (예: 비효율적 대처) |
사정도구 | 문제 분류체계 + 개입체계 + 결과 평가체계(PCR, ICR, OCR) | PES 형식(문제 Problem - 원인 Etiology - 증상 Signs/Symptoms) |
활용방식 | 간호문제 기록 및 개입과 결과를 일관되게 추적 | 간호계획 수립, 간호중재, 평가 단계의 핵심 도구 |
위 표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자면!
▶ 오마하 간호진단 : 지역사회 중심으로 <이 사람이 어떤 문제를 가족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
▶ 난다 간호진단 : 임상에서 <간호사가 어떤 간호적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춤
지금까지!
오마하 간호진단의 뜻과 우선순위!
난다 간호진단과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