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정신간호학에서 중요한!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1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아래 링크를 클릭해 주세요!
비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총정리 1탄
오늘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2탄을 준비했습니다.
[PART 1 사례를 통한 알아보는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8 방어
대상자가 표현한 감정이나 생각을 간호사가 개인적 비난으로 받아들이거나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듯 반응하는 의사소통 방식
예)
대상자 : 저 주치의 아무래도 돌팔이 같네요
간호사 : 그렇지 않아요 유능한 분이고 수준이 높으신 분입니다.
환자의 감정을 인정하거나 수용하지 않고 방어적인 태도로 대응해 대화의 초점을 환자에게서 간호사에게 옮기는 특성이 있음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 "주치의에 대해 그렇게 생각하시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개방적 질문)
▶ "주치의에 대해 불편한 마음이 있으시군요. 그 마음을 좀 더 이야기해 주시겠어요?" (공감적 경청)
9 표현된 감정 경시하기
대상자가 표현한 감정이나 경험을 사소하게 여기거나 무시하는 의사소통 기법.
예) 간호사 : "그런 것 가지고 울면 어떡해요~"
대상자의 감정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지 않고 '별일 아닌 것'처럼 취급해 감정의 중요성을 축소하거나 부정하는 특징이 있ㅇ음.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 “그 일이 많이 속상하셨군요.” (공감)
▶ “그렇게 느끼시는 이유를 좀 더 이야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감정 명확화)
※ 공감, 경청, 감정 명확확, 지지적 표현을 사용해 대상자의 감정을 존중하는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전환하는 것이 좋음
10 상투적인 표현
상투적인 표현은 지나치게 일반적인 말로, 대상자의 구체적인 상황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사용하는 위로의 방식
예) 간호사 : 내일은 더 나아질 거예요, 용기를 잃지 마세요"
감정 확인(대상자의 감정을 언어로 되짚어 주기) / 공감적 경청(판단 없이 받아들이며 경청) / 현실적 지지(구체적인 대처 방안 탐색)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 “오늘 많이 힘들게 느껴지시는군요. 어떤 점이 가장 어려우신지 말씀해 주시겠어요?”
▶ “지금 겪고 계신 불안이 크다는 게 느껴져요. 제가 곁에 있으니 함께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거예요.”
11 문자적 반응
대상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적 의미를 무시하고 단순한 사실에만 초점을 맞추는 기법/
예)
대상자 : "어떤 사람들이 저를 쳐다보는 것 같아요"
간호사 : "어디서요?"
대상자의 정서적 메시지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함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 "사람들이 쳐다보는 것 같아 불안하신 거군요."
▶ "그렇게 느끼시니 힘드실 것 같아요. 지금 그 감정에 대해 더 이야기해 주시겠어요?"
12 관계없는 주제(말돌리기)
대상자가 말하고 싶은 주제를 피하거나 주제를 바꾸는 것
예)
대상자: “요즘 너무 불안해서 잠을 거의 못 자요.”
간호사: “아, 그런데 오늘 식사는 잘 하셨어요?”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잃고, 더 이상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을 수 있음.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대상자: “요즘 너무 불안해서 잠을 거의 못 자요.”
간호사 : “불안 때문에 잠을 못 주무시는군요. 어떤 점이 특히 불안하게 만드나요?”
13 도전
대상자의 말이나 믿음을 사실이 아님을 증명하도로고 요구하거나, 의도적으로 논쟁적 태도로 질문하는 의사소통 기법
예) 간호사 : "환자분께서 초능력자라면 지금 한 번 증명해보세요."
환자의 표현을 직접적으로 반박하거나 증명하라고 요구하는 대신, 환자의 감정과 경험을 존중하면서 현실 감각을 유지하도록 돕는 방식이 필요함.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환자분께서는 자신이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느끼시는군요. 그때 어떤 기분이 드시나요?
(감정탐색/자기표현 유도)
14 시험
환자의 지식, 현실 인식, 혹은 사고 과정을 확인하거나 검증하려는 질문을 통해 환자를 시험하거나 검사하는 것처럼 보이는 의사소통 기법.
예) "오늘이 며칠인지 아시나요? 환자분은 아직도 그런 생각을 하십니까?"
환자는 신뢰 대신 방어적 태도를 취하게 되고 솔직한 감정이나 경험을 드러내기 어려워하게 됩니다.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그런 생각이 드는 게 힘드실 것 같아요. 어떤 기분이 드시나요?” (감정 공감 및 개방적 질문)
“여전히 그런 생각이 드시는군요. 그 생각이 환자분께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탐색과 수용)
지금까지!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아봤는데요!
비치료적 의사소통을 어떻게 해결해하는지도 함께 알아봤습니다!
다음에도 더 좋은 정보로 돌아올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