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년 전통의 ‘광복절 타종행사’, 8월 15일 오전 11시 30분부터 보신각에서
서울시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8월 15일 오전 11시 30분 보신각에서 특별한 타종행사를 개최한다.
1949년 8월 15일부터 진행된 광복절 타종행사는 올해로 77회를 맞았다. 올해 타종행사는 시민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했다. 기념 타종 외에 광복 80주년의 의미를 담아 타종인사와 시민 230여 명이 함께하는 ‘시민 대합창’의 장관을 연출할 예정이다. ‘광복절 노래’, ‘아름다운 나라’, ‘서울의 찬가’의 하모니가 보신각을 가득 메운다.
타종에는 서울시장과 독립유공자 후손 등 12명이 참여한다. 특히 올해는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 3명을 특별 초청해 의미를 더했다. 해외 초청자로는 조선의용대와 광복군에서 활동한 故이달 애국지사의 자녀 이소심, 임시정부 광복군사령부 군의처장을 지낸 故유진동 애국지사의 자녀 유수동, 청산리대첩을 승리로 이끈 북로군정서의 故김규식 애국지사의 증손자녀 김령필이 참석한다.
이외에도 학생 신분으로 조선독립당을 조직한 故김병현 애국지사의 자녀 김대하를 비롯 故서달수·故이연형·故장경·故정선모·故정재선 애국지사의 유족 5명이 함께한다. 타종인사들은 4명씩 3개 조로 나뉘어 각각 11번씩 총 33번 종을 치게 된다.
공연 프로그램도 다채롭다. 사전공연으로 백석대학교 뮤지컬전공 학생들이 창작뮤지컬 ‘조선의 불꽃’ 갈라쇼를 선보인다.
한편, 광복절 당일 종로 일대에서는 ‘소울해치와 떠나는 항일유적 탐방’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타종부터 답사까지, 시민들이 광복절의 의미를 몸소 체험할 수 있게 구성했다.
태극기 바람개비 300개로 꾸민 높이 6m ‘태극기 언덕’ 조성
서울도서관 정문 앞에는 가로 45m·폭 5m·높이 6m의 ‘태극기 언덕’이 생겼다. 우리 민족이 광복을 염원하며 흔들었던 태극기를 바람개비로 꾸민 ‘태극기 언덕’은 광복의 자부심과 기쁨을 형상화했다.
시민들은 광복주간 전시되는 태극기 언덕에 직접 올라 꿈새김판에 걸려 있는 안중근 열사 ‘단지동맹 혈서 태극기’ 가까이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서울광장에 펼쳐지는 다양한 전시와 행사도 조망할 수 있다.
서울도서관 꿈새김판에 걸린 태극기는 안중근 열사의 ‘단지동맹 혈서 태극기’를 바탕으로 독립유공자 150명을 비롯, 서울의 발전상을 담을 사진들로 구성된 포토 모자이크 작품이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큰 태극기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서울의 역사를 담고 있다.
태극기 언덕 정상에서는 사진작가가 촬영한 시민들의 사진을 광복 80주년 공식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하는 ‘태극기화보 이벤트’와 태극기 모양 스티커에 광복 메시지나 소원을 작성해 언덕 정상에 붙이는 퍼포먼스도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