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부담 뚝↓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나온다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 2027년 전면 확대 목표

 

 

비용 부담 뚝↓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나온다

 

 

2주 표준요금 390만 원… 산모 250만 원, 시 140만 원 부담

 

서울 시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이용 평균 비용이 491만 원, 최고 4,020만 원(2025.6.기준)에 달하는 가운데, 서울시가 이용 부담을 낮추고 서비스를 높인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시범 운영한다.

 

시는 2026년 민간산후조리원 5개소를 공모해 상반기 중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시범 가동한다. 이후 운영 결과 분석·보완을 거쳐 2027년부터 서울 전역에 확대할 계획이다.

 

참여 시설은 서류심사, 현장실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선정되고 공공 운영 기준을 준수토록 협약을 체결한다.

지자체가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공공 산후조리원과 달리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주체가 되어 시와 협약을 맺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는 현재 서울 시내 산후조리원 산모실(총 1,964실)이 출생아 수 대비 과잉인 현실을 고려해 공공과 민간이 상생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협력형 대안으로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모델을 설계했다.

 

 

비용 부담 뚝↓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나온다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취약계층, 다자녀 산모에게는 우선 입소권이 제공된다. 시는 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기 어려운 취약계층의 입소 기회를 보장하면서도 모든 산모가 공정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운영 방침을 수립할 예정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2주 이용 기준 390만 원 표준요금을 적용하며 산모는 250만 원, 시는 140만 원을 부담한다. 다자녀 가구·한부모 가정 등의 경우 50%, 저소득층은 100% 비용을 감면받을 수 있다.

 

서울시 조사(2025년 6월 기준)에 따르면 민간 산후조리원 2주 평균 이용 요금 491만 원, 중위 요금은 390만 원(최저 280만 원~최고 4,020만 원)으로 평균 비용의 절반(491만 원 중 250만 원)만 부담하면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을 이용할 수 있다.

 

 

 

0
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