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률 80~90% 목표…2030년 1만명 인재 배출
서울 모든 자치구에 1개씩 총 25개 캠퍼스 조성을 마친 ‘청년취업사관학교’가 AI 대전환의 흐름에 맞춰 서울의 미래 경쟁력을 이끌 ‘AI인재 양성 허브’로 새롭게 도약한다.
서울시는 현장수요 대응형 교육 강화, 취업·창업 지원 프로그램 확대, 인프라 및 네트워크 확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청년취업사관학교 2.0-1089(십중팔구) 프로젝트’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AI 전환이 가속화되고 IT를 넘어 CS·생산·마케팅 등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역량은 물론 실무경험을 갖춘 현장형 AI인재를 양성해 ‘십중팔구’ 말 그대로 양질의 일자리에 80~90% 취업시키는 것이 목표다. 교육인원도 2025년 3,300명에서 2030년 1만 명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글로벌 AI선도 기업 참여 ‘글로벌 빅테크 전담 캠퍼스’ 10개로 확대
AI 산업 현장수요에 대응 가능한 경쟁력 있는 교육체계를 구축·운영한다.
‘글로벌 빅테크 전담캠퍼스’는 올해 첫 도입해 ▴마포(Microsoft) ▴중구(Salesforce) ▴종로(Intel)에서 운영 중이며 2026년 5개, 2030년에는 총 10개까지 확대한다. 엔비디아, 오라클 등 글로벌 AI 선도기업이 중급이상 심화 교육과정을 전담 운영하는 방식으로 SK, KT 등 국내 대기업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기반형 현장 실무교육도 함께 실시해 교육의 질은 물론 채용까지 효율적으로 연계한다.
또한 서울의 신성장 혁신축을 중심으로 한 ‘특화산업 거점 캠퍼스’ 5곳도 신규로 운영해 지역별 거점산업과 교육과정을 연계, 지역 수요에 맞는 특화된 AI 인재를 양성한다.
성북(바이오), 영등포(핀테크), 강남(로봇), 강서(창조), 동대문(뷰티패션)에서 운영 예정인데. 예를 들면 영등포캠퍼스에서 블록체인기반 금융서비스(핀테크), 강남 캠퍼스에서 로봇제어 융합 SW개발(로봇) 등의 강의가 진행되는 방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