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 학생을 위한 NRS 통증척도 정리노트 ―

실습 가면 꼭 듣는 질문이 있죠. “지금 통증이 몇 점인가요?”

통증은 ‘주관적 경험’이라서 숫자로 표현하기 어렵지만, 

간호에서는 이걸 수치화해서 기록하고 중재 계획을 세우는 게 정말 중요해요.
아래는 제가 공부하면서 정리한 NRS 통증척도 핵심 요약입니다!

 

1. 통증척도란?

환자의 통증 정도를 수치·시각·언어적 방식으로 표현하게 만든 평가도구예요.
이걸 사용하면 통증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록할 수 있고, 의료진 간 의사소통도 쉬워집니다.

 

🔎 대표적인 통증척도

NRS (Numeric Rating Scale) – 숫자로 표현

VAS (Visual Analogue Scale) – 선 위 표시

FLACC Scale – 소아 / 의사소통 어려운 대상자

Faces Pain Scale – 얼굴 그림 사용

 

이 중 실습에서 가장 많이 쓰는 건 NRS!

 

2. NRS 통증척도란?

0~10 사이에서 숫자를 하나 선택해 통증 정도를 말하는 방식이에요.

 

✔️ 점수 기준

0점: 아예 안 아픔

1~3점: 경증

4~6점: 중등도

7~10점: 중증

간호사가 보통 이렇게 설명합니다:

“0은 전혀 아프지 않은 상태, 10은 상상 가능한 가장 심한 통증이에요. 지금 통증은 몇 점 정도인가요?”

예: 환자가 6점이라고 하면 → 중등도 이상 통증 →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 중재 필요.

 

3. NRS의 장점

설명이 간단하고 직관적

숫자로 기록해서 객관성 확보

통증관리, 의사결정에 직접 연결됨

진통제 투여 여부, 중재 전후 효과 판단 등에서 필수적이에요.

 

4. 실습 & 이론에서 꼭 알아둘 팁

🔄 1) 통증 평가는 반복해야 한다

통증은 계속 변하므로

중재 전/후

진통제 투약 전/후
반드시 재평가하기!

 

🤝 2) 환자의 느낌을 존중하기

통증 점수는 100% 주관적
“고작 3점인데 많이 아프세요?” 같은 말 절대 금지 🙅‍♀️

 

👶 3) 대상자에 맞게 척도 선택

NRS가 어려운 대상자 → FLACC, Faces scale 등 사용해야 함.

 

5. 실습에서 바로 쓰는 팁

⭐ 1) 설명을 정확히 해야 신뢰도↑

“0은 통증 없음, 10은 가장 극심한 통증”
기준이 명확할수록 환자도 답변을 더 정확하게 해줘요.

 

⭐ 2) 통증 양상도 함께 기록

수치 + 양상
예) “6점, 쑤시는 듯한 통증, 복부 우상부 위치”

 

⭐ 3) 간호기록지(NN)에 꼼꼼히 기입

점수

부위

양상

중재 전/후 변화
이건 나중에 법적 보호 측면에서도 정말 중요해요.

 

6. 정리: 통증척도는 간호의 기본이자 출발점!

NRS는 단순히 숫자를 물어보는 게 아니라
환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간호사가 이해 가능한 언어로 바꾸는 과정이에요.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 다양한 통증척도
✔ 적용 대상
✔ 기록 기준
이 세 가지는 꼭 알고 있어야 실습에서 흔들리지 않아요!

0
0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