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는 도시 생활을 하는 우리에게 친숙한 교통수단입니다.
지하철역은 먼 곳에 있더라도 가까운 곳에 버스정류장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죠.
이 같은 시내버스는 유료로 운영됩니다. 과거에는 여성 차장이 탑승하여 요금을 받았다는데, 지금은 탑승할 때 운전기사 옆에서 승객이 스스로 냅니다. 그나마 요즘엔 ‘현금 없는 버스’라고 해서 교통카드만 쓸 수 있는 버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버스 중에서 무료로 운영되는 노선들이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는 정식 시내버스는 아니지만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런 노선들을 미리 안다면 편리한데다가 요금부담까지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인 대상으로 이용객을 확대시킨 버스들
주로 공공시설, 그중에서도 문화시설을 주로 경유하여 운행하기 때문에 ‘문화 셔틀버스’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용산구에서 운영 중인 문화시설 셔틀버스입니다.
이용 대상자는 ▴보건소 방문자 ▴구청 및 주민센터 자치회관 프로그램 수강자 ▴구에서 운영 중인 문화예술체육교육시설 이용자 ▴공공도서관 이용자 ▴이태원 관광특구 방문 외국인 ▴어르신의 날 행사 참여 주민이라고 하는데, 이용 범위가 폭넓기 때문에 사실상 그냥 모든 시민이 대상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문화시설이나 관내 명소를 순환 운행하는 무료 셔틀버스는 다른 구에서도 운영 중이며, 일부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자치구 | 차량 | 운행시간 | 운행구간 | 이용방법 |
용산구 문화시설 셔틀버스 |
6대 | 평일 8:00~18:00 (노선별 6~9회) 토·일·공휴일 운휴 |
· 용산구청-남산도서관 · 용산구청-효창공원 · 용산구청-이태원 · 용산구청-성촌공원 · 용산구청-시립용산노인복지관 · 용산구청-동부이촌동 |
제한 없음 (입석 불가) |
성동구 성공버스 | - | 평일 8시~19시 (배차간격 15분) 토·일·공휴일 운휴 |
서울숲복합문화체육센터 ↔서울숲복합문화체육센터 |
누리집에서 QR승차권 발급 (어르신 : 신분증 제시) |
서대문구 서대문명소 순환 셔틀버스 |
2대 | 평일 9:00~18:00 토·일·공휴일 운휴 |
서대문문화체육회관 ↔서대문문화체육회관 |
제한 없음 |
서초구 서초문화버스 서초문화원 |
5대 | 평일 9시-17시 (노선별 5~7회) 토·일·공휴일 운휴 |
· 반포동-잠원동 · 서초동-반포동 · 방배동-서초동 · 양재동-우면동 · 내곡동 |
문화시설 회원증 또는 문화-행사 관련 문자메시지 등 제시 |
특정 문화 또는 체육시설만 가는 전용셔틀버스와 달리, 이들 문화셔틀버스는 폭넓은 경유지와 노선망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간 중간 내렸다 타면서 이용 가능한 틈새 교통수단의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다만 시내버스나 마을버스에 비해 운행횟수가 적은 것이 불편한 점인데, 이에 따라 자치구에서는 미리 시각표를 공개하고 이에 맞추어 운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버스의 위치를 알아볼 수 있는 스마트폰 앱까지 운영 중입니다. 앱이 있다는 점은 시내버스와 차이가 없고, 시각표가 있다는 점은 시내버스보다도 나은 점입니다.
예비군 훈련장 수송버스
서울의 예비군훈련장은 한강을 기준으로 남쪽과 북쪽에 있는데 군부대 특성상 산속에 있다 보니 접근이 쉽지 않았습니다.
자기 차로 가려면 주차의 어려움도 있고, 외곽지역이라서 대중교통도 좋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서울시는 ‘예비군 훈련장 수송버스 지원에 관한 조례’를 만들고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훈련장을 오가는 무료 수송버스를 작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상은 서울시에 주소가 있는 지역예비군입니다.
예비군 무료버스의 출발지는 각 구별 주요 지점이며, 도착지는 (52사단) 서초(서초구 내곡동), 박달(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56사단) 노고산(남양주시 진벌리), 금곡(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훈련장입니다.
예비군훈련은 주말이 아니라 평일에 시행되며, 아침 일찍 집합하므로 출근시간과 겹치게 됩니다. 또한 예비군훈련장은 외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평소 수요가 많은 곳이 아니다보니 한 번에 가는 버스가 별로 없고, 있는 버스도 마을버스처럼 작은 버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예비군은 대부분 젊은 청년들이다보니 자동차가 없는 경우도 많아서, 울며 겨자 먹기로 택시를 타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는 곳 근처에서 편안하게 다녀올 수 있게 해주며 비용까지 절약시켜 주는 예비군 무료버스는 청년 우대와 군필자 우대를 동시에 해주는 진정한 교통복지혜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내 손안에 서울
작성자 익명
신고글 서울에 무료 버스가 있다고? 교통망 빈틈을 채우는 특별한 버스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