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https://nurselink.moneple.com/free/107531443

오늘은, 

간호사 국시에도 자주 등장할만큼 중요한 내용인데요!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우선, 유치도뇨 핵심술기의 순서를 알아볼까요?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 유치도뇨 핵심술기 순서

 

선행학습 및 준비단계

 

 

준비 및 초기 간호 단계

 

 

무균술 및 도뇨관 삽입 단계

 

 

고정 및 마무리 단계

 

 

기록 및 교육 

 

순으로 이뤄집니다. 

 

그럼, 단계별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유치도뇨 핵심술기 정의 : 유치도뇨는 방광에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요도를 통해 도뇨관

    (카테터)을 삽입해 유치하는 간호핵심술기를 말하는데요. 이 술기는 감염위험이 높으므로 무균술을 엄격히       지키는 게 중요해요!

 

★ 유치도뇨 핵심술기 주요 단계와 각 단계별 고려사항

 

1 선행학습 및 준비단계

1) 목적 확인 및 지식 습득: 유치도뇨를 시행하는 목적(예: 소변 배출 장애, I/O 측정, 수술 전 준비 등), 

   금기사항, 발생 가능한 합병증(요로감염, 요도 손상) 등을 숙지

 

2) 물품준비 : 유치도뇨 세트 / 소변 주머니 / 반창고 또는 카테터 고정 기구 / 방수포 또는 일회용 시트 /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스크린 또는 커튼 / 폐기물 통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2 준비 및 초기 간호 단계

1) 손 위생: 물품 준비 전후 철저히 손 위생을 시행합니다.

2) 대상자 확인: 정확한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하고,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함

3) 프라이버시 보호: 스크린이나 커튼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

4) 체위 변경

    ▶ 여성: 앙와위에서 무릎을 굽히고 다리를 벌린 자세 (개구리 다리 자세)를 취하게 함.

    ▶ 남성: 앙와위로 다리를 편 자세를 취하게 함

5) 방수포 적용: 침대가 오염되지 않도록 대상자 둔부 아래에 방수포를 깔아줌

6) 청결 간호: 필요시 비누와 물로 대상자의 회음부를 깨끗이 닦아줌 (멸균 과정 아님)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3 무균술 및 도뇨관 삽입 단계 ◀ 가장 중요해요!

1) 개방형 글러브 착용 (첫 번째 일반 글러브): 필요시 물품 개봉 전 일반 글러브를 착용하여 오염을 방지

2) 도뇨 세트 개봉 및 준비

    ▶ 멸균 구역을 확보하고 멸균 물품을 개봉

    ▶ 소독솜에 소독액(포비돈 또는 클로르헥시딘)을 적시고, 멸균 윤활제를 주사기나 용기에 준비

    ▶ 도뇨관 끝부분에 멸균 윤활제를 충분히 바름(약 3-5cm)

    ▶ 소변 주머니를 도뇨관 끝에 연결하고, 풍선 팽창을 위한 멸균 증류수 주사기를 준비

3) 멸균 장갑 착용: 철저한 무균술에 따라 멸균 장갑을 착용 (중간에 오염되지 않도록 매우 주의)

 

4) 소독포 적용: 멸균 소독포를 회음부 주변에 펼쳐 멸균 구역을 만듦 (성기에만 구멍이 있는 소독포 사용)

 

5) 회음부 소독 

    ▶ 여성

  • 오염되지 않은 손(보통 비우세손)으로 음순을 벌려 요도구를 노출시킵니다. 이 손은 삽입이 끝날 때까지 해당 부위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 우세손에 멸균된 소독솜을 잡고, 요도구를 중심으로 위에서 아래로 (치골 결합에서 항문 쪽으로) 한 번만 닦은 후 버립니다.
  • 이 과정을 최소 3번 반복하여 철저히 소독합니다. (좌측 소음순 -> 우측 소음순 -> 중앙 요도구)     

    ▶ 남성

  • 오염되지 않은 손(보통 비우세손)으로 음경을 잡고 곧게 세워 요도구를 노출시킵니다. 이 손은 삽입이 끝날 때까지 음경을 잡고 있어야 합니다.
  • 우세손에 멸균된 소독솜을 잡고, 요도구 주변을 원은 밖으로 그리면서 닦습니다.
  • 이 과정을 최소 3번 반복하여 철저히 소독합니다.

6) 도뇨관 삽입

    ▶ 소독된 손(우세손)으로 윤활 처리된 도뇨관을 잡음

    ▶ 여성: 요도구로 도뇨관을 5~7cm 정도 삽입한 후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소변이 나오면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해 2~3cm 정도 더 삽입

    ▶ 남성: 음경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도뇨관을 15~20cm 정도 삽입한 후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

               소변이 나오면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해 2~3cm 정도 더 삽입

    ▶ 저항이 느껴지면 무리하게 삽입하지 않습니다. 

        ※ 환자에게 심호흡을 유도하며 삽입하거나, 삽입이 어려우면 즉시 보고

 

7) 풍선 팽창

    ▶ 여성: 허벅지 안쪽에 도뇨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반창고나 전용 고정 기구로 고정

    ▶ 남성: 허벅지나 복부에 고정하며, 음경을 세우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요도 손상을 방지

    ▶ 도뇨관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여유를 둠

 

유치도뇨 핵심술기 + 유치도뇨 이론적 근거 총정리!

 

4 고정 및 마무리 단계

1) 도뇨관 고정

    ▶ 여성: 허벅지 안쪽에 도뇨관이 당겨지지 않도록 반창고나 전용 고정 기구로 고정

    ▶ 남성: 허벅지나 복부에 고정하며, 음경을 세우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요도 손상을 방지

    ▶ 도뇨관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도록 여유를 둠

 

2) 소변 주머니 고정 : 소변 주머니는 방광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하여 소변 역류를 방지하고,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3) 정리: 사용한 물품을 정리하고 폐기

 

4) 손 위생: 마지막으로 다시 손 위생을 시행

 

5) 환자 사정: 환자의 통증, 불편감, 소변 배출 여부 등을 사정

 

 

5 기록 및 교육

1) 기록 :

  • 시행 일시, 삽입 목적, 삽입한 도뇨관의 종류(재질), 크기(Fr), 삽입량(cm), 풍선 팽창에 사용된 증류수 양(mL).
  • 소변의 양, 색깔, 특성(혼탁도, 냄새 등).
  • 대상자의 반응, 불편감 유무.
  • 합병증 발생 여부.

2) 교육 :  유치도뇨관 관리 방법(청결 유지, 소변 주머니 비우기, 역류 방지, 통증이나 불편감 발생 시 보고 등)      에 대해 대상자 및 보호자에게 교육

 

======================================================================

 

★ 유치도뇨 시 핵심 원칙 ★

  • 철저한 무균술: 가장 중요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모든 단계에서 무균술을 엄격히 지켜야 함
  • 환자 프라이버시 존중: 환자의 심리적 안정과 존엄성을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함
  •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 요도와 방광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함
  • 환자 반응 관찰: 삽입 중 환자의 통증, 불편감, 이상 반응(출혈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대처함
  • 합병증 예방: 요로감염, 요도 손상, 방광 경련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모든 주의사항을 준수함

======================================================================

 

지금까지,

유치도뇨 핵심술기에 대해 알아봤느데요!

국시에서도 중요한 내용이니 꼭 알아두세요!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