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인기글 (실시간)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https://nurselink.moneple.com/nurse_talk/104901641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혈액검사는 채취가 매우 간단하고,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진행하는 검진에 가장 많이 포함된 검사 중 하나죠.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검사이다 보니, 검사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채혈 튜브의 색상은 아주 다양한데요

색상에 따라 용도가 다 다르다 보니 많이 헷갈릴 수 있어요.

 

이번 시간을 통해 색상에 따른 혈액검체용기의 용도와 주의사항을 배워

임상에서 헷갈리지 않고 올바른 검체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봐요!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권장 채혈 순서는?

오염 방지를 위해서는 정해진 순서를 지켜 채혈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채혈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파란색 → 노란색 → 빨간색 → 녹색 → 보라색 → 회색

 

항응고제나 첨가제가 다른 튜브로 오염되면 검사 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순서를 지켜야 혈액 성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용도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Sodium Citrate Tube

· 용기의 색상 : 하늘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Sodium Citrate (3.2%)

· 주요검사 : 혈액응고인자, 혈소판기능검사, FDP 정량검사 등

· 채취량 : 혈액 2mL (=항응고제 0.3ml, 혈액 2.7ml)

 

· 취급방법 :

   - 항응고제 (Sodium Citrate)가 들어 있어 피가 굳지 않는다.

   - 항응고제가 잘 섞이기 위해 채혈 후 5회 정도 뒤집어 흔들어 준다.

   - 혈액에 응고덩어리가 생기면 검사결과에 오류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혼합해 줘야 한다.

· 주의사항 : 정확한 채혈량 (항응고제:혈액 = 1.9)이 튜브에 담겨야 한다

                채혈량이 적거나 많으면 검사결과에 오류가 생기니 꼭 주의!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SST Tube (Serum Separate Tube)

용기의 색상 : 빨간색 또는 노란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혈청분리를 위한 응고촉진제(silica particles), gel

· 주요검사 : 일반적인 일반화학 검사, 혈청, 면역학검사 등

· 채취량 : 혈액 5.0 mL, 8.5 mL

 

· 취급방법 :

  - 튜브 아래엔 젤이 있어, 혈청과 혈구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 용기에 silica particle으로 고팅되어 있어, 혈액이 들어가면 응고를 촉진시켜 혈액 응괴를 만들어 낸다.

  - 채혈 후 위아래로 뒤집어 흔들어 주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기 전 30~1시간 정도 응고가 형성되도록 세워 놓는다.

· 주의사항 : SST 튜브는 젤 층의 파괴를 주의해야 하고, 용혈되지 않도록 채혈해야 한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Plain Tube

· 용기의 색상 : 빨간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첨가제가 들어 있지 않다.

· 주요검사 : 약물, 화학 및 혈청학적 검사, 수혈 시 cross matching 검사 등

· 채취량 : 혈액 5~10mL

 

· 취급방법 :

  - 헌혈 혈액과 동일한 상태로 채취하여 일정 기간 냉동 보관하는 소량의 보관 검체이다.

  - 첨가제가 들어있는 다른 용기로부터 첨가제 혼입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먼저 뽑는다.

· 주의사항 : 멸균 유지를 위해 사용 시 뚜껑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Heparin Tube

· 용기의 색상 : 초록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Sodium heparin

· 주요검사 : Amino acid, Organic acid, 염색체검사, 중금속검사, 면역항체검사 등

· 채취량 : 혈액 4.0 mL, 10.0 mL

 

· 취급방법 :

  - 용기에 채혈 후 응고되지 않도록 충분히 혼합해야 한다. (3~4회 정도)

  - PST 튜브 젤 층 혼란을 방지 위해 수평 보관 권장한다.

· 주의사항 Vit B1, B2는 빛이 차단된 곳에 보관하도록 한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EDTA Tube

· 용기의 색상 : 보라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K2 EDTA

· 주요검사 : CBC, PB morphology, 혈구계산, 혈구형태검사, 세포면역검사 등

· 채취량 : 혈액 3.0 mL

 

· 취급방법 :

  - 튜브 속에 전체적으로 항응고제(K2 EDTA)가 발라져 있어서 피가 굳지 않는다.

  - 채혈 후 즉시 8~10회 흔들어 혼합시켜 줘야 한다. 혈액과 K2 EDTA가 잘 혼합되지 않아 

    혈소판 응집, 응고덩어리가 생기면 CBC에서 백혈구수치와 혈소판 수치가 실제보다 감소한 결과가 나온다.

  - K2 EDTA는 오래 방치하면 백혈구의 염색상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채혈 후 즉시 검사를 시작하거나, 

    바로 가 힘든 경우 실온 4℃에서 보관하며 24시간 내로 진행해야 한다.

· 주의사항 : 액상으로 된 K2 EDTA는 혈액을 희석할 수 있어 

               분말 건조 방법으로 건제된 K2 EDTA사용을 권장한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Sodium Fluoride Tube

· 용기의 색상 : 검은색 채혈 튜브

· 첨가제 : Sodium Fluoride, Potassium Oxalate

· 주요검사 : Lactic acid, glucose, OGTT(당부하검사)

· 채취량 : 혈액 3.0 mL

 

· 취급방법 :

  - sodium fluoride가 혈구가 glucose 소모하는 것을 막는다.

  - 채혈 후 응고되지 않도록 충분히 8~10회 정도 흔들어 준다.

· 주의사항 : 일반 생화학 튜브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당 대사를 억제하기 위해 채혈 후 냉장 보관을 하는 것을 권장한다,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지금까지 채혈의 순서부터 각 혈액검체용기의 용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채혈의 순서, 검체 용기의 종류와 용도가 헷갈렸던 신규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는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좋은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검체 용기 정보 및 이미지 출처 : GC녹십자의료재단 

https://www.gclabs.co.kr/test/instrument

0
0
신고하기

작성자 말랑간호지식

신고글 혈액검체용기 [채혈 튜브] 종류와 순서 그리고 주의 사항까지 한 번에!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