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떠나는 신규 간호사들… “간호사 1인당 환자 수 줄여야”
[2025년 6월 24일]
신규 간호사의 약 60%가 병원을 떠나는 ‘탈임상’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간호사 대 환자 수 법제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대한간호협회가 ‘건강보험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수는 25만4566명에서 28만3603명으로 2만9037명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같은 기간, 신규 간호사 면허 취득자 7만686명 중 41%만 병원에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경력 단절 간호사 수는 2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됐다.
협회는 신규 간호사들이 취업 자체를 보류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전공의 이탈 여파로 신규 간호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근무지인 상급종합병원의 채용이 줄었기 때문이다. 실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수 증가율은 2024년 5.19%(3604명)에서 2025년 1.92%(1405명)로 급감해, 채용 증가폭이 전년 대비 61%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을 축소한 상급종합병원과는 대조적으로, 종합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간호사 채용이 증가했다. 종합병원 간호사 수는 2025년 7.57%(7156명) 늘어나 전년도 증가율인 4.4%(3984명)의 1.7배를 기록했다. 병원급 의료기관도 2024년 8.52%(3251명)에서 2025년 9.3%(3853명)로 소폭 증가했다.
대형병원보다 부족한 인력, 열악한 시설,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등은 중소병원 간호사들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러한 환경은 간호사들의 업무 부담을 가중하고, 소진을 유발해 결국 이직으로 이어지는 만큼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협회의 주장이다.
(이하 생략. 기사 전문은 아래 링크 클릭!)
[출처 : 헬스조선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6/24/202506240215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