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계산, 어렵지만 핵심은 이것!
간호사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중의 기본, 약물계산! 오늘은 그중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gtt(가트) 계산법을 중심으로 개념과 예시를 정리해볼게요. 약물 투여 시 정확한 계산은 환자 안전과 직결되므로, 반드시 숙지해 두어야 합니다.
💧 gtt란 무엇일까?
‘gtt’는 라틴어 *guttae(방울)*에서 유래한 약어로, 1분 동안 떨어지는 방울 수를 의미합니다. 발음은 “가트”라고 발음합니다.
[예시]
• 10gtt = 1분에 10방울
• 20gtt = 1분에 20방울
• 30gtt = 1분에 30방울
• ···
• 100gtt = 1분에 100방울
즉, 숫자가 클수록 방울 수가 많고 속도도 빨라지는 거죠.
⏱ 초당 방울 수로 환산하는 법
그렇다면 1분당 방울 수를 초당 간격으로 바꿀 수도 있을까요? 아주 간단합니다! 1분은 60초니까 이 숫자를 gtt로 나누면 됩니다.
계산 예시
• 10gtt → 60 ÷ 10gtt = 6초당 1방울
• 20gtt → 60 ÷ 20gtt = 3초당 1방울
• 30gtt → 60 ÷ 30 = 2초당 1방울
이런 식으로 계산하면 수액 조절 시 방울 간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 약물계산 꿀팁! 방울 수와 cc의 관계
보통 사용하는 수액세트는 20gtt당 1cc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즉, 20방울이 1cc, 이걸 다시 계산하면…
1gtt = 1cc ÷ 20방울 = 0.05cc
여기서 cc는 ml와 같은 단위이므로
1gtt = 0.05cc = 0.05ml
이라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 공식은 약물 투여량 계산에 아주 유용하게 쓰입니다.
⏳ 시간당 주입량은 어떻게 될까?
위에서 1gtt = 0.05cc라는 걸 알았죠?
그럼 1시간(60분) 동안 들어가는 양은?
0.05cc × 60분 = 3cc/hr
즉, 1gtt는 시간당 3cc를 의미하게 됩니다.
이걸 활용해 다양한 gtt 수에 따른 시간당 주입량도 알 수 있어요.
[예시]
• 1gtt → 3cc/hr
• 5gtt → 15cc/hr
• 10gtt → 30cc/hr
• 20gtt → 60cc/hr
이렇게 정리하면 수액 속도 조절 시 참고하기 아주 좋습니다!
💊 약물계산 문제 ①
수액세트 기준으로 1gtt는 몇 cc(ml)에 해당할까요? (20gtt = 1cc 기준)
• ① 0.1cc
• ② 0.05cc
• ③ 0.01cc
• ④ 0.005cc
✅ 정답: ② 0.05cc
🔍 해설:
1cc ÷ 20gtt = 0.05cc
따라서 1방울(gtt)은 0.05cc 또는 0.05ml입니다.
💊 약물계산 문제 ②
1분당 10gtt로 수액이 떨어지고 있다면, 시간당 몇 cc가 주입되는가?
• ① 15cc/hr
• ② 20cc/hr
• ③ 30cc/hr
• ④ 60cc/hr
✅ 정답: ③ 30cc/hr
🔍 해설:
1gtt = 3cc/hr → 10gtt = 3 × 10 = 30cc/hr입니다.
약물계산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gtt 개념만 정확히 이해해도 수액 조절이 한결 쉬워집니다.
“1gtt = 0.05cc”, “20gtt = 1cc”만 기억해도 대부분의 상황에서 적용이 가능해요.
오늘 정리한 공식과 예시들을 반복해서 연습해 보세요.
실제 임상에서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실무 꿀팁으로 다시 찾아올게요
-
의약품 정보 알아보려면?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https://nedrug.mfds.go.kr/searchDr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