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임상에서 환자 처치 및 관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의학용어 PCD', 즉 Percutaneous Drainage (경피적 배액술)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의학용어 PCD를 정확히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환자 안전과 회복에 직결됩니다!
1. 의학용어 PCD: 정의와 시술의 중요성
의학용어 PCD는 Percutaneous Drainage의 약자이며, 이는 경피적 배액술을 의미합니다. 이 시술은 수술적 절개 없이 초음파나 CT 등 영상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경피적)를 통해 체내에 고인 비정상적인 액체(농양, 체액, 담즙 등)를 카테터를 삽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최소 침습적 치료법입니다.
• PCD의 역할
체내 농양이나 체액 저류는 주변 조직을 압박하고 염증을 악화시켜 패혈증(Sepsis)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CD는 이를 신속하게 제거하여 염증의 진행을 막고, 항생제 효과를 극대화하며, 환자의 통증과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 PCD의 장점
전신 마취 대신 국소 마취로 진행 가능하며, 수술에 비해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적고 회복이 빠릅니다. 이것이 의학용어 PCD가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2. PCD의 주요 적응증 및 임상 분류
경피적 배액술이 적용되는 주된 상황은 체내에 고인 액체성 물질을 제거해야 할 때입니다. 임상에서 접하게 되는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PCD 주요 분류 |
PCD 의학용어의 실제 적용 |
농양 배액 (Abscess Drainage) |
복강 내 농양, 간농양, 췌장 주변 농양 등 각종 염증으로 생긴 고름집 제거. |
흉강 배액 (Pleural Drainage) |
농흉(Empyema)이나 악성 흉수(Pleural Effusion)를 제거하여 호흡 기능을 회복. |
담도 배액 (PTBD) |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종양 등으로 막힌 담도를 우회하여 담즙을 체외로 배액. |
복수 배액 (Paracentesis) |
간경변 등으로 인해 발생한 긴장성 복수(Ascites)를 일시적으로 제거하여 증상 완화. |
간호사는 환자의 진단명과 삽입된 PCD 카테터의 목적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환자에게 "가지고 계신 관은 의학용어 PCD라고 부르며, 몸 안의 염증 물질을 빼내기 위해 넣은 것입니다."와 같이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PCD 시술 전/후 간호사의 필수 간호 (Critical Nursing)
경피적 배액술은 최소 침습적이지만, 시술 전후의 간호 관리가 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3-1. 시술 전 간호: 안전 확보
1) 금식(NPO) 확인: 시술 전 금식 지침(보통 4~8시간) 준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출혈 위험 사정: 환자가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경우 주치의의 중단 지시를 확인하고, 응고 검사(PT/aPTT, INR) 결과를 반드시 체크합니다. 출혈 위험 관리는 PCD 시술 전 가장 중요한 안전 조치입니다.
3) 동의서 확인 및 교육: 시술 동의서 유무를 확인하고, 시술 중 움직이지 않도록 환자에게 충분히 교육합니다.
3-2. 시술 후 간호: 섬세한 모니터링
1) 카테터 관리 및 고정
- 카테터 고정 상태를 매번 확인하여 카테터의 이탈(Dislodgement)을 예방합니다.
- 삽입 부위의 드레싱은 병원 지침에 따라 무균술(Aseptic Technique)을 적용하여 시행하며, 감염 징후(발적, 열감, 통증, 부종)를 면밀히 사정합니다.
2) 배액량 및 성상 관찰
- 배액 백은 삽입 부위보다 낮게 위치시켜 역류를 방지합니다.
- 배액량(Amount)과 배액 성상(Color, Character)을 매 근무조마다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이것은 PCD 의학용어 환자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 즉시 보고 사항: 갑자기 선홍색 혈액이 다량 배액되거나 (출혈 의심), 배액량이 급격히 줄거나 멈췄을 때 (막힘 의심), 혹은 고름 냄새가 심해질 때 (감염 악화 의심)는 즉시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3-3. 카테터 막힘(Obstruction) 시 대처
카테터가 꺾였거나 꼬인 곳이 없는지 확인 후, 주치의 처방에 따라 세척(Flushing)을 준비합니다. 세척 시 강한 압력을 가하거나 임의로 세척해서는 안 됩니다.
4. PCD 관련 자주 쓰이는 물품 및 용어 종류
의학용어 PCD 관리에 필요한 물품에 대한 지식은 실무 능률을 높여줍니다.
4-1. 카테터 종류
- 피그테일 카테터 (Pigtail Catheter): 끝이 고리 모양으로 말려 체내 고정이 용이하여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 말렉 카테터 (Malecot Catheter): 끝부분이 펴지면서 우산처럼 고정되어 배액이 용이합니다.
4-2. 배액 방식 종류
- 능동 배액 (Active Drainage): Hemovac나 Jackson-Pratt (JP)와 같이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배액하는 방식입니다.
- 수동 배액 (Passive/Gravity Drainage): 단순 배액 백을 사용하여 중력에 의해 배액하는 방식입니다.
4-3. 관련 술기 용어
- PTC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경피경간 담관조영술. 담도를 영상화하는 진단 목적의 시술입니다.
- PTGBD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경간 담낭 배액술. 급성 담낭염 시 담낭에 직접 관을 삽입하여 농을 배액하는 시술입니다. 이는 PCD 의학용어의 세부적인 예시입니다.
의학용어 PCD에 대한 지식은 환자 상태를 판단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간호사의 핵심 역량입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더욱 자신감 있는 간호를 펼치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