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뇨관 종류 완벽 정리 - 유치도뇨관·단순도뇨관 차이 및 도뇨관 관리 지침

도뇨관 종류

 

간호사 및 간호학과 학생 분들께 환자의 안전과 감염 통제를 위해 도뇨관 종류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유치도뇨, 단순도뇨, 폴리카테터 등 주요 도뇨관 종류의 구조적 차이와 임상 적용 기준을 명확히 하고, CAUTI(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예방을 위한 전문적인 도뇨관 관리 지침을 심층적으로 정리해볼게요.

 

1. 도뇨관 종류 : 분류, 구조 및 임상 적용 기준

도뇨관 종류는 크게 유치 여부와 목적에 따라 단순도뇨관과 유치도뇨관으로 나뉩니다.

단순도뇨관

1.1. 단순도뇨관(Simple Catheter) 정의와 적용 사례

  • 특징: 소변 배출 후 즉시 제거하는 일회성 카테터입니다. 도뇨관 끝에 소변을 모으는 루멘(Lumen)만 존재하며, 풍선은 없습니다.

  • 주요 적용:

    • 잔뇨량(PVR) 측정: 방광 기능 평가의 기본 자료입니다.

    • 자가도뇨(CIC): 신경인성 방광 환자의 자가 도뇨관 관리 표준으로, 방광의 주기적인 비움을 통해 감염 위험을 낮춥니다.

  • 감염 관리: 엄격한 무균술 대신 청결법(Clean Technique)을 사용하여 요로계의 정상 생리를 모방합니다.

유치도뇨관

1.2. 유치도뇨관 (Indwelling Catheter, 폴리카테터)

  • 특징: 일정 기간 방광 내에 지속적으로 유치하는 도뇨관 종류입니다.

  • 구조 (폴리카테터):

    • 배액 루멘: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입니다.

    • 풍선 루멘: 멸균수를 주입하여 풍선을 팽창시켜 도뇨관을 방광 경부에 고정하는 통로입니다.

    • 풍선 (Balloon): 도뇨관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5mL ~ 10mL 멸균수를 사용합니다.

  • 주요 적용:

    • 정확한 모니터링: 중증 환자의 시간당 소변량 측정을 통한 혈역학적 평가.

    • 방광 감압 및 치유: 수술 후 방광 보호 및 요로 폐쇄 시 우회로 제공.

  • 재질: 실리콘(Silicon) 재질이 생체 적합성이 높고 자극이 적어 장기 유치 시 선호됩니다.

삼방 카테터

1.3. 기타 도뇨관 종류 (Specialized Catheters)

  • 삼방 카테터 (Three-way Catheter): 배액 루멘, 풍선 루멘 외에 방광 세척을 위한 세 번째 루멘이 추가된 도뇨관 종류입니다. 주로 혈뇨가 심하거나 방광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치골 상부 카테터 (Suprapubic Catheter): 복벽을 통해 방광에 직접 삽입하는 도뇨관 종류로, 요도 손상, 요도 협착, 장기적인 유치가 필요한 경우에 고려됩니다.

도뇨관 종류 비교표

도뇨관 종류 유치 여부 풍선 유무 임상적 주 사용 목적
단순도뇨관 일회성 (제거) 없음 잔뇨 측정, 자가도뇨 (CIC)
유치도뇨관 지속적 유치 있음 지속적 소변량 모니터링, 장기 배액
삼방 카테터 지속적 유치 있음 방광 세척 (혈뇨 등)

 

 

2. CAUTI 예방을 위한 전문적인 도뇨관 관리 표준

CAUTI 발생 위험은 도뇨관 종류 중 유치도뇨관 사용 시 유치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엄격한 프로토콜 준수가 필수입니다.

 

도뇨관 관리

2.1. 삽입 시 도뇨관 관리 및 무균술 원칙

  • 적응증 확인 및 제거: 매일 도뇨관 유치 필요성을 재평가하고, 필요가 없으면 즉시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CAUTI 예방 중재입니다.

  • 무균술(Aseptic Technique) 유지: 삽입은 멸균 장갑, 멸균 포, 소독액을 사용한 철저한 무균 환경에서 진행되어야 합니다. 삽입 시 멸균 구역 오염은 즉시 재시도해야 합니다.

  • 요도 손상 방지: 도뇨관 종류와 관계없이, 요도 점막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활제(Lubricant)를 충분히 사용하고, 풍선은 반드시 방광 내에서 팽창시켜야 합니다.

유치도뇨

2.2. 유치도뇨관 관리: 폐쇄형 배액 체계 유지 방법

  • 폐쇄 체계 보호: 도뇨관과 소변 주머니의 연결 부위를 절대 분리하지 않고 폐쇄 체계를 유지합니다. 소변 검체 채취는 검체 채취 포트(Sampling Port)를 통해 수행되어야 합니다.

  • 역류 및 오염 방지: 소변 주머니는 항상 방광 높이보다 낮게 위치시켜 소변의 역류를 막고, 주머니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배액관 관리: 배액관의 꼬임이나 루프 형성을 방지하여 소변 정체를 막고, 소변 주머니는 2/3 정도 차기 전에 비워 세균 증식 기회를 줄입니다.

도뇨관 간호

2.3. 요도구 간호 및 고정을 통한 도뇨관 관리

  • 청결 유지: 하루 최소 1~2회, 따뜻한 물과 순한 비누로 요도구 주변을 세척하여 분비물이나 미생물 축적을 방지합니다. 여성 환자는 앞에서 뒤로 닦는 원칙을 준수합니다.

  • 안전한 고정: 카테터 고정 장치(Securement Device)를 사용하여 도뇨관을 허벅지나 하복부에 단단히 고정하여 도뇨관 당김으로 인한 요도 손상 및 통증을 예방합니다. 부적절한 고정은 세균 침입의 통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도뇨관 종류별 합병증 관찰 및 신속한 간호 중재

폴리카테터

도뇨관 관리 중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합병증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보고해야 합니다.

  • 배액 장애: 도뇨관 종류와 관계없이 소변이 갑자기 멈추거나 도뇨관 주변으로 소변이 새어 나오는 경우 (폐색 또는 풍선 손상 의심).

  • 감염 징후: 38.0℃ 이상의 발열, 오한, 새로운 치골 상부 통증, 소변의 혼탁 및 악취.

  • 방광 경련: 폴리카테터 유치 환자에게 흔하며, 도뇨관 자극으로 인한 불수의적인 방광 수축 통증입니다. 고정 상태 확인 및 진경제 투여 보고가 필요합니다.

  • 혈뇨: 지속적이거나 심해지는 육안적 혈뇨는 방광 또는 요도의 손상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도뇨관 종류 간호

 

도뇨관 종류와 올바른 도뇨관 관리 지침을 숙지하는 것은 간호 실무에서 환자 안전과 CAUTI 예방의 핵심입니다. 도뇨관 종류에 따른 전문적인 도뇨관 관리 지침을 숙지하고 임상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뇨과 관리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서울아산병원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 서울아산병원 '간헐적 청결 도뇨 관리법' 확인하기

3
0
댓글 1
  • 익명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