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신(Adenosine)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아데노신(Adenosine) 제목

 

안녕하세요. 오늘은 응급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아데노신 약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데노신(Adenosine)응급실에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는 빈맥(Tachycardia) 상황에서 사용되는 핵심 약물입니다.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빠른 심장 박동을 단 몇 초 만에 정상으로 돌려놓는 강력한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을 통해 아데노신의 작용 기전, 투여 용량, 정확한 투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겠습니다.

 

 

1. 아데노신 약리 작용

 아데노신(Adenosine)

아데노신 약물은 응급실에서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치료를 위한 약물로 사용됩니다.

 

PSVT는 심실(Ventricle) 위쪽(Supraventricular)에서 발생하는 빈맥으로, 갑작스럽게 심박수가 분당 150회 이상으로 매우 빨라지며 환자에게 두근거림, 흉통, 호흡 곤란, 심하면 실신 등을 유발합니다. 이 상황은 심장 전도 경로에 생긴 비정상적인 회로(Re-entry circuit) 때문에 발생하며, 아데노신은 이 회로를 '일시 정지'시켜 심장 리듬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 아데노신 약리 작용

아데노신(Adenosine) 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3

아데노신은 심장 내부에 있는 A1 수용체(A1 receptor)에 작용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 효과를 나타냅니다.

 

1) 방실결절(AV Node) 전도 억제

: 아데노신은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기적 연결 통로인 방실결절(AV Node)에서 전기 신호의 전도 속도를 현저히 지연시키거나 일시적으로 차단합니다.

 

2) 활동전위 기간 단축

: 심장 세포의 활동전위(Action Potential)의 지속 시간을 짧게 만들어 불응기(Refractory Period)를 늘립니다.

 

아데노신을 투여함으로 PSVT를 유발하는 방실결절 주변의 비정상적인 순환 전기 회로를 아데노신이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리듬을 '강제로 리셋'시키고 심장 박동이 정상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되는 정상 동리듬(Sinus Rhythm)으로 돌아오게 합니다.

 

 

2. 아데노신 투여 용량

아데노신(Adenosine) 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4

아데노신의 혈장 반감기는 약 5~10초로 매우 짧기 때문에, 정확한 용량을 신속하고 강력하게 투여하는 것이 약물의 성공률을 좌우합니다.

 

하여, 아데노신 주사 용량은 6-12-12(mg) 법칙을 사용하는데요. 최초 용량 6mg 투여 후 반응이 없으면 다음 투여 시 2배 용량인 12mg을 투여합니다.

만일 두 번의 투여 후에도 환자에게 반응이 없는 경우 12mg을 한번 더 투여해 줍니다.

, 임상적 증상에 따라 투여 용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데노신 투여 용량표 (성인 기준)]

투여 순서

용량

조건 및 간격

1차 투여

6mg

최초 투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

2차 투여

12mg

1차 투여 후 1~2분 간격으로 투여

3차 투여

12mg

2차 투여 후 1~2분 간격으로 투여, 3회까지 시도 가능

 

 

▶ 아데노신 주사 용량에 따른 주의사항

 

1) 저용량 투여 환자

: 중추 정맥 카테터(Central Line)가 삽입된 환자나 디피리다몰(Dipyridamole)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아데노신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여 3mg부터 시작하는 것을 고려합니다.

 

2) 고용량 투여 금기

: 아데노신은 심실빈맥(VT)이나 심방세동(Afib)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오직 PSVT 진단/치료에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3. 아데노신 주사 부위

아데노신(Adenosine)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5

약물의 반감기가 짧기 때문에 심장까지 약물이 도달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시간의 최소화를 위해 심장에 가장 가까운 굵은 정맥에 정맥 주사(IV) 라인을 확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팔꿈치 안쪽의 전완 정맥(Antecubital Vein)또는 정중 주관 정맥(Median Cubital Vein) 등 굵고 중심에 가까운 부위에 주로 IV를 시행합니다.

 

가능하다면 IV용으로 사용하는 정맥 카테터 중 가장 두꺼운 18G로 삽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아데노신 투여 방법

아데노신(Adenosine)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6

 

▶ 아데노신 투여 방법 필수 절차

1) 모니터링

: 약물 투여 전 심전도 모니터링 및 활력 징후 측정 장치를 환자에게 부착하여 약물 투여 중 심장 리듬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2) 약물 준비

: 아데노신 주사액을 준비하고, 그 뒤를 이어서 빠르게 밀어 넣을 생리식염수(5~10 mL)를 또 다른 주사기에 준비합니다.

 

3) 투여 자세

: IV 라인에 아데노신 주사기와 식염수 주사기를 연결하고, 주입 부위가 심장보다 높지 않도록 환자의 팔을 위치시킵니다.

 

4) 핵심 (Rapid IV Push)

- 아데노신 주입 : 준비된 아데노신 용량(6 mg 또는 12 mg)을 최대한 빠르고 강력하게 (1~2초 내) 정맥으로 밀어 넣습니다.

 

- 식염수 후속 주입 : 아데노신 주입이 끝나자마자 주사기 연결 부위를 재빨리 바꾸지 않고 밸브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시린지를 동시에 연결하여 준비된 생리식염수(5~10 mL)를 동일하게 아주 빠르게 밀어 넣어 아데노신을 심장 쪽으로 강제로 밀어 넣습니다.

 

5) 반응 관찰

: 투여 후 심전도 모니터에서 짧은 무수축(Asystole) 또는 일시적인 서맥(Bradycardia)이 나타난 후, 정상 동 리듬으로 복귀하는지 면밀히 관찰합니다.

 

아데노신(Adenosine)약물의 약리 작용, 투여 방법 등 총정리 7

 

환자에게 아노데신 약물을 투여 시 투여 직후 약물이 작용할 때, 심장이 멈추는 듯한 느낌, 흉부 압박감, 홍조, 호흡 곤란을 순간적으로 느낄 수 있음을 미리 설명하여 환자에게 불안감을 최소화 합니다.

 

지금까지 아데노신 약물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을 위한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말랑간호지식의 다른 정보 보러 가기]

(클릭) 뇌출혈 증상 5가지 의학용어(ICH, IVH, SAH, SDH, EDH)

3
0
댓글 2
  • 익명1
    감사합니다!
  • 익명2
    아데노신 정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