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혈전제 종류부터 부작용, 간호사가 알아야 할 필수 지식!

항혈전제

안녕하세요. 간호사 및 예비간호사 선생님들!

심혈관 질환과 뇌혈관 질환 환자가 증가하면서, 혈전 생성을 막아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항혈전제의 중요성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투약 오류를 막고, 환자에게 정확한 교육을 제공하며, 잠재적인 위험을 감지하는 것은 간호사의 핵심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호학과 학생 및 현장 간호사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항혈전제 종류, 작용 기전, 그리고 가장 중요한 항혈전제 부작용 및 간호 관리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항혈전제 종류 및 부작용

1. 항혈전제(Antithrombotic Agent)란 무엇인가요?

항혈전제는 혈관 내에서 혈액이 응고되어 생기는 덩어리, 즉 혈전(Thrombus)의 형성을 억제하거나 이미 형성된 혈전을 용해하여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항혈전제는 작용 기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됩니다.

분류 작용 기전 사용 목적
항혈소판제 (Antiplatelet) 혈소판의 활성화 및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 차단 동맥 혈전증 예방 (심근경색, 뇌경색 등)
항응고제 (Anticoagulant) 혈액 응고 인자(Coagulation Factor)의 활성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 차단 정맥 혈전증 및 심방세동 환자의 혈전증 예방 등
혈전용해제 (Thrombolytic Agent) 이미 형성된 혈전의 주요 성분인 피브린(Fibrin)을 용해 급성 혈전성 폐쇄 질환 치료 (급성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

 

 

항혈전제 종류 < 출처: 간준모

2. 항혈전제 종류와 대표 약물

간호 실무에서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중심으로 주요 약물과 기전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할게요.

 

2.1. 항혈소판제 (Antiplatelet Agents)

주로 동맥 혈전증 예방에 사용되며, 혈소판 기능의 여러 단계를 억제합니다.

아래 표는 항혈소판제 종류와 기전을 정리한 것입니다.

항혈소판제 아스피린< 아스피린

 

종류 대표 약물 (예시) 작용 기전 요약
COX-1 억제제 아스피린(Aspirin) Cyclooxygenase-1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여 Thromboxane A₂ 생성을 차단.
P2Y12 수용체 억제제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프라수그렐(Prasugrel)

티카그렐러(Ticagrelor)

ADP 수용체(P2Y12)를 차단하여 혈소판 활성화 및 응집 억제.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은 Prodrug)
PDE 억제제

실로스타졸(Cilostazol)

디피리다몰(Dipyridamole)

Phosphodiesterase를 억제하여 cAMP 농도를 높여 혈소판 응집 감소. (주로 말초동맥 질환의 간헐성 파행 치료에도 사용)
GPIIb/IIIa 길항제

앱식시맙(Abciximab)

에피티피바타이드(Eptifibatide)

최종 공통 경로인 Glycoprotein IIb/IIIa 수용체를 차단하여 피브리노겐과의 결합 방해. (주로 IV로 투여, PCI 시술 시 사용)

 

 

2.2. 항응고제 (Anticoagulant Agents)

혈액 응고 경로의 주요 인자들을 표적으로 하며, 정맥 혈전증 및 심방세동과 같은 고위험 환자의 혈전 예방에 사용됩니다.

 

항응고제 와파린 < 와파린

 

2.2.1. 경구용 항응고제 종류(Oral Anticoagulants, OAC)

종류 대표 약물 (예시) 작용 기전 요약
비타민 K 길항제 (VKA) 와파린(Warfarin)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 (Factor II, VII, IX, X) 합성을 억제. INR 모니터링 필수.
직접 경구 항응고제 (DOAC/NOAC)

리바록사반(Rivaroxaban)

아픽사반(Apixaban)

에독사반(Edoxaban)

다비가트란(Dabigatran)

Factor Xa 억제제 (앞 3가지) 또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 (다비가트란). INR 모니터링 불필요, 와파린보다 안전성 및 편의성 개선.

 

항응고제 헤파린< 헤파린

 

2.2.2. 비경구용 항응고제 종류

종류 대표 약물 (예시) 작용 기전 요약
헤파린 및 유도체

헤파린(Heparin)

저분자량 헤파린(LMWH, Enoxaparin)

항트롬빈(Antithrombin)에 결합하여 트롬빈 및 Factor Xa의 활성을 간접적으로 억제.
직접 트롬빈 억제제

레피루딘(Lepirudin)

아가트로반(Argatroban)

트롬빈(Factor IIa)에 직접 결합하여 활성 억제.

 

 

 

3. 항혈전제 부작용과 간호사의 역할

항혈전제의 주요 작용 기전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부작용은 바로 출혈(Hemorrhage)입니다.

 

항혈전제 부작용 출혈

3.1. 가장 흔하고 중요한 항혈전제 부작용: 출혈 위험

  • 증상 및 징후: 잇몸 출혈, 코피, 쉽게 멍이 드는 증상, 혈뇨, 혈변(검은색 변, Melena), 토혈, 비정상적인 질 출혈 등 경미한 출혈부터 뇌출혈, 위장관 출혈과 같은 중증 출혈까지 다양합니다.

  • 간호 관리:

    • 사정: 환자의 출혈 징후(활력 징후 변화, 혈색소/헤마토크릿 수치 변화, 의식 수준 변화 등)를 면밀히 관찰하고 보고합니다.

    • 교육: 환자에게 면도 시 전기면도기 사용, 칫솔질은 부드럽게, 날카로운 물건 주의, 넘어짐(낙상) 방지 교육 등을 통해 출혈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교육합니다.

    • 약물 상호작용: 아스피린이나 NSAIDs(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와 같은 다른 항혈소판제/소염진통제와 병용 시 위장관 출혈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 반드시 의사/약사와 상의 후 복용하도록 교육합니다.

와파린

3.2. 와파린(Warfarin)의 특이 부작용 및 관리

와파린은 약효 발현에 비타민 K가 관여하므로, 식이요법과 약물 상호작용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INR 모니터링: 와파린 투여 시 국제정상화비율(INR)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치료 범위(Target INR)를 유지해야 합니다. 너무 낮으면 혈전 위험, 너무 높으면 출혈 위험이 커집니다.

  • 비타민 K 함유 식품: 비타민 K가 풍부한 식품(시금치, 브로콜리, 양배추, 녹차 등 녹색 채소)을 '갑자기 많이' 섭취하거나 '극단적으로 피하는' 행동은 INR 변동을 초래하므로, 일관된 양을 섭취하도록 교육합니다.

  • 해독제(Antidote): 과도한 항응고 효과로 인한 중증 출혈 발생 시 비타민 K 또는 응고 인자 복합체(PCC) 등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항혈전제 폐질환

3.3. 기타 주요 부작용

  • 헤파린 유발성 혈소판 감소증 (HIT): 헤파린 투여 시 드물게 발생하며, 혈소판 수치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혈전증(Paradoxical Thrombosis)을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면역 매개 반응입니다. 혈소판 수치 감소와 새로운 혈전증 발생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 간질성 폐질환 (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다비가트란(Dabigatran)을 포함한 일부 DOAC에서 드물지만 중대한 부작용으로 보고됩니다.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곤란 등) 발현 시 주의 깊게 관찰하고 보고해야 합니다.

항혈전제 간호

4. 간호 실무 팁: 투약 중단 시점의 중요성

환자가 수술이나 침습적인 시술(내시경 검사, 용종 절제술, 치과 발치 등)을 앞두고 있다면, 항혈전제 복용 중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출혈 위험 vs 혈전 발생 위험: 중단 시점은 시술의 출혈 위험도와 환자의 혈전 발생 위험도를 고려하여 의료진(주치의)이 결정합니다.

  • 약물별 중단 기간: 약물의 종류(특히 반감기)에 따라 중단 기간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아스피린은 5~7일, 클로피도그렐은 5일, DOAC는 24~48시간 전 중단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임의로 중단하지 않도록 환자에게 강조해야 합니다. 중단 시 혈전 발생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항혈전제 종류 2

항혈전제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생명을 연장하는 데 필수적인 약물이지만, 그만큼 신중한 투약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임상에서 더욱 안전하고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임상에서 항혈전제를 투약·관리하는 모든 간호사에게 특히 중요한 내용이니, 필요할 때 바로 참고할 수 있도록 저장해두세요!!

 

(클릭) 항혈전제 종류와 쓰임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마지막 깜짝 퀴즈까지 풀어보고 가세요!

Q: 와파린을 복용 중인 환자가 감기에 걸려 약국에서 임의로 NSAIDs를 구매하여 복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은 무엇인가요?

 

A: 와파린과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서로 다른 기전으로 모두 출혈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특히 NSAIDs는 위장관 점막을 손상시켜 위장관 출혈 위험을 높이므로, 와파린과 병용 시 중증 위장관 출혈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이 가장 큰 위험입니다.

1
0
댓글 1
  • 익명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