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urselink.moneple.com/nurse_talk/97421813
간호사 탈임상!
CRA 간호사 주요업무부터 취업방법까지 총정리!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 임상시험 모니터 요원)는
제약회사나 CRO(임상시험수탁기관)에서
신약 개발 과정의 임상시험을
모니터링하는 직무예요.
- 임상시험 계획이 GCP(국제 임상시험 관리 기준) 및 식약처 규정에 따라 진행되는지 감독
- 병원(시험기관) 방문하여 임상시험 모니터링(데이터 정확성 확인, 이상반응 관리)
- 연구자(의사, 연구 간호사)와 소통하여 프로토콜 준수 여부 체크
- 임상시험 보고서 작성 및 자료 관리
- 임상시험 대상자(피험자) 모집 진행 상황 모니터링
✅ 필수 요건
- 간호사 면허 소지자
- GCP 교육 수료(필수) → 온라인/오프라인 교육 기관에서 수강 가능
- 의료 및 임상시험 관련 지식 (약물작용, 부작용, 신약 개발 과정 이해)
- 영어 가능자(우대) → 글로벌 제약사 및 CRO는 영어 읽기/쓰기 능력이 필요할 수 있음
✅ 취업 시 유리한 사항
- 병원 CRC(임상연구코디네이터) 경력 → CRA로 전환하는 가장 일반적인 루트
- 임상 관련 경력(중환자실, 내과, 종양내과 등 신약 임상시험이 활발한 분야)
- CRA 자격증(선택사항) → ACRP, SOCRA 등의 국제 임상연구 전문가 자격증
✅ 장점
✔ 병원을 벗어나 사무직 근무 가능 (야근, 교대 근무 없음)
✔ 연봉 상승 속도가 빠름 (대기업 제약사 CRA는 연봉이 높음)
✔ 해외 제약사, 글로벌 CRO 이직 가능 (영어 가능하면 기회 많음)
✔ 다양한 병원·연구자와 협업 경험 가능
❌ 단점
✖ 출장이 많음 (임상시험 병원 방문 필수)
✖ 업무 강도 높음 (규정 준수 중요, 문서 작성 많음)
✖ 초반 적응이 어려울 수 있음 (약물, 임상시험 관련 법규 공부해야 함)
✅ 채용 사이트 활용
글로벌 CRO 회사(ex. IQVIA, PPD, Parexel) 공식 홈페이지 지원
✅ 경력 쌓기 루트
- 병원 임상경력 → CRC(임상연구코디네이터) → CRA로 전환
- 병원 경력 없이 바로 CRA 지원하는 경우 GCP 교육 & 관련 인턴 경험 있으면 유리
✅ 필요한 교육 및 자격증(선택사항)
- GCP 교육 필수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K-DMB 등에서 수강 가능)
- ICH-GCP, ACRP, SOCRA 등 국제 임상연구 자격증(선택)
지금까지!
간호사 탈임상!
CRA 간호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0
0
신고하기
작성자 널스링크관리자
신고글 간호사 탈임상! CRA 간호사 주요업무부터 취업방법까지 총정리!
사유 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