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력의 단계 측정 방법인 motor grade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motor grade는 신경계 손상이 있는 뇌졸중, 척추 손상, 신경근 질환 환자의
운동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요.
단계별 등급으로 나눠져 있어 등급별로 특징을 잘 기억하고 헷갈리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 바로 motor grade 측정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1. motor grade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motor grade 사정은 운동 기능 및 근력 사정(Muscle Strength Grading)을 의미하며,
근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단계별 등급을 설정한 기준을 말합니다.
근력을 평가할 때 명확한 기준이 없이 진행한다면,
평가자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지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motor grade를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근력 평가가 가능합니다.
2. motor grade 측정 방법은 어떻게 진행할까요?
환자의 근력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아래의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환자 자세 설정
- 각 근육마다 가장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표준 자세를 취함
ex) 어깨 굴곡은 환자를 의자에 앉힌 상태에서 팔을 전방으로 들어 올리는 식.
▶ 사지 근력 평가
- 좌측과 우측, 상지(팔)와 하지(다리)를 각각 평가
- 검사자는 손을 내밀고, 환자가 이를 밀거나 버티도록 유도
- 환자가 검사자의 힘에 어느 정도 저항할 수 있는지 평가
▶ 중력 저항 여부 확인
- 환자가 중력에 저항하여 움직일 수 있는지 확인
- 근육 수축이 있는지 혹은 완전히 마비된 상태인지 평가
▶ 표준화된 등급 판정
- 평가 결과에 따라 motor grade 점수 부여
-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더라도 근육이 수축하는지(촉진), 움직이려는 의지는 있는지 등을 관찰 필요
3. motor grade 등급에 대해 알아볼까요?
등급 |
설명 |
5점 |
정상 근력 (Normal Power) |
4점 |
중력과 저항에 대한 운동 가능 (Active movement against gravity and resistance) |
3점 |
중력에 저항하여 움직임 가능 (Active movement against gravity) |
2점 |
중력 제거 시 움직임 가능 (Active movement with gravity eliminated) |
1점 |
근육 미세한 움직임 (Flickering or trace of contraction) |
0점 |
전혀 움직이지 못함 (No movement) |
motor grade는 0점에서 5점까지 총 6단계로 구성됩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정상에 가깝고, 낮을수록 근력 저하 또는 마비 상태를 의미합니다.
Grade 5
스스로의 힘으로 저항을 이겨내고 버틸만큼 충분한 힘을 가진 정상적인 근력 상태입니다.
손이나 발을 밀어 보라고 지시했을 때, 충분한 힘으로 밀어낼 수 있죠.
Grade 4
검사자가 힘을 줘도 일부는 버티며 이겨낼 수 있는 정도의 근력 상태입니다.
혼자서 팔과 다리를 들 수 있으나 검사자가 힘을 가했을 때 온전히 저항하지 못하고 밀릴 수 있죠.
Grade 3
중력에 저항하여 움직일 수 있는 상태입니다.
저항에 반응이 업서, 발꿈치, 팔꿈치는 바닥에 닿아 있지만 팔과 발은 굽힐 수 있는 정도입니다.
예로 팔을 들어 올릴 수는 있지만, 저항을 주면 못하게 되죠
Grade 2
중력을 이기지 못하고 평행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발꿈치, 팔꿈치는 바닥에 닿아 있고 ' 좌우'로만 평행으로만 움직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본인의 힘으로 팔과 다리를 들지는 못하지만 양옆으로 움직이거나, 굽히는 정도가 가능하죠.
Grade 1
자극에 대한 '움찔', '까딱' 하는 정도의 근육의 미세한 수축 정도의 움직임이 있고,
관절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Grade 0
전혀 움직임이 없고 근 수축도 없는 상태입니다.
자극에도 움직임이 없는 마비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4. motor grade 측정 방법의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요?
▶ 검사 전, 관절 가동 범위(ROM)를 먼저 평가해서 정상 범위를 확인합니다.
▶ 항상 반대측 정상 쪽과 비교해서 평가합니다.
▶ 검사자가 힘을 줄 때는 천천히, 일정하게 눌러야 합니다 (갑작스런 힘은 부정확).
▶ 검사자의 손의 위치, 환자의 자세가 일관적이어야 합니다.
▶ 환자의 통증, 협동근 보상 작용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5. 임상에서 motor grade은 어떻게 표기할까요?
motor grade는 좌측과 우측, 상지(UE)와 하지(LE)를 기준으로 기록합니다.
▶ UE (Upper Extremities, 상지) : 좌측/우측 근력 등급
▶ LE (Lower Extremities, 하지) : 좌측/우측 근력 등급
작성 예시로는 UE 3/2 (상지 좌측 3점, 우측 2점),
LE 4/5 (하지 좌측 4점, 우측 5점) 이렇게 표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병원마다 표기가 다를 수 있으니 꼭 근무하는 병원의 표기 기준을 따라 작성해 주세요.
지금까지 motor grade 측정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는데요.
임상 또는 병원실습 시 도움이되는 정보였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도 새로운 주제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말랑 간호 지식] LOC 의식수준 5단계로 환자의 상태 확인하기
https://nurselink.moneple.com/campus_talk/103618221
작성자 말랑간호지식
신고글 motor grade 측정방법 헷갈린다면? 쉽게 알려줄게!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