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혈장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인 알부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알부민은 오로지 간에서 생성되는데요. 간에 손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알부민이 생성되는데 어려움이 생기기 때문에 신장질환을 가진 환자를 간호할 때 알부민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알부민의 주요 기능은?
▶ 혈장의 삼투압을 유지해 혈관 안에 수분이 머무를 수 있도록 도와줌.
체액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는 걸 막아 부종을 예방하고
혈액량을 일정하게 유지해 혈압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알부민 수치가 낮아지면 혈관 안에 있어야 할 수분들이 복부, 주변 조직등으로
새어 나가게 되어, 복수,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수용성이 낮은(지용성) 물질을 혈관을 통해 필요한 곳에 안정적으로 운반하도록 도와줌.
예를 들어 담즙산, 지용성 호르몬, 유리 지방산, 칼슘이온, 철 이온 등과 결합하여
혈액에서 이동시키고 각각의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운반하는 주요 물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산, 호르몬(갑상선 호르몬(T3, T4), 코르티솔 등), 이온 (칼슘, 마그네슘, 구리 등),
약물 (항생제, 진통제, 항응고제 등), 빌리루빈
알부민 정상수치는?
알부민은 검사는 입원 전, 간 기능 검사, 건강검진 때 혈액검사를 통해 진행하며,
알부민 정상수치는 3.5~5.5g/dl 입니다.
알부민 수치에 따라서 Mild, Moderate, Severe로 구분되는 데요.
- Mild 한 경우는 3.0~3.5g/dl
- Moderate한 경우는 2.5~3.0g/dl
- Severe한 경우는 2.5g/dl 이하
이와 같이 알부민의 수치의 변화가 생기는 원인은
영양실조 또는 흡수 장애로 인한 생산이 감소, 간경화, 신장에 의한 과도한 배설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알부민혈증? 저알부민혈증??
알부민의 수치에 따라서 저알부민혈증과 고알부민혈증으로 구분됩니다.
고알부민혈증은 정상 수치보다 높은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5.0 g/dL 이상일 때 고알부민혈증으로 간주합니다.
고알부민혈증으로 결과가 나올 경우,
환자의 병력과 증상 및 기타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합니다.
고알부민혈증의 원인으로는 탈수, 심한 설사, 심한 구토 등이 있으며,
높은 알부민을 정상수치로 만들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거나 필요시 수액치료를 진행합니다.
저알부민혈증은 정상 수치보다 낮은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3.5g/dL 미만일 때 저알부민혈증으로 간주합니다.
낮은 알부민 수치는 당뇨병, 암, 간 질환을 포함한 광범위한 건강 문제에서 볼수 있습니다.
저알부민혈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양실조
영양실조 또는 단백질 섭취 부족으로 인해 알부민 수치가 낮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 만성질환, 염증 또는 감염
알부민 감소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몸에 염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간이 알부민보다는 염증 관련 단백질(CRP 등) 생성에 집중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알부민 합성이 억제됩니다.
염증 또는 감염 반응이 클수록 알부민 수치는 더 낮아지게 됩니다.
- 간질환, 간 기능 저하
알부민은 간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간 질환이 생기는 경우,
알부민 생성에 방해를 받아 합성 능력이 떨어져 알부민 수치가 내려갑니다.
- 심부전
심부전 환자에게도 알부민 수치가 나오는 데요.
염증, 혈액 희석, 간 기능 장애, 단백소실성 장병증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알부민을 투여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 약 4 ~ 6시간 천천히 투여
높은 삼투앞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급속주입 시 혈장량과다, 폐부종발생, 심부전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부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름에도 간호사, 간호학과 학생들을 위한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말랑 간호 지식] LOC 의식수준 5단계로 환자의 상태 확인하기
작성자 말랑간호지식
신고글 알부민 정상수치와 수치 감소의 원인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