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2편을 가져왔습니다.
지난 주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1편은
정보제공 / 자기노출 / 직면 / 침묵 / 칭찬하기 / 유머의 사례를 다뤘는데요!
밑에 링크 클릭하시고 한 번 더 봐주세요!
▼
★ 치료적 의사소통 1탄 ★
[PART 1 다양한 사례를 통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1 정보제공
1) 전문가로서 지식을 대상자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알려주는 것
예) "우울감을 없앨 수 있는 좋은 방법 없을까요?"
2) 적절한 대응
"우울감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감정이에요. 가볍게 줄이는 방법으로는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가 도움이 돼요."
▶ 대상자의 질문에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시해 자기결정권을 존중함
▶ 막연한 불안이나 무력감을 줄이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대처 방안을 알게 함.
2 자기노출
1) 대상자가 말한 것과 유사한 경험을 의도적으로 노출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
예) "저는 늘 친한 친구가 없는 것 같아요"
2) 적절한 대응
“저도 비슷한 감정을 경험했을 때가 있어요. 그때 이야기할 수 있는 한 사람만 있어도 큰 힘이 되더라고요.”
▶ 공감 제공 / 고립감 완화 / 신뢰 형성 / 적극적 탐색 유도
3) 주의사항: 자기노출은 짧고 간결하게 사용해야 하며, 대상자의 감정 탐색과 지지가 우선이어야 함.
3 직면
1) 개선되어야만 하는 부분을 모르거나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을 때 문제 상황을 사실대로 진술해주어 변화동기를 끌어냄
예) "친구랑 관계 때문에 저는 너무 힘들고 서운해요. 근데 그 일이 객관적으로 이렇게 속상해할 만한 문제가 아닌데 왜 속상한지 용납이 안돼요"
2) 적절한 대응
"겉으로는 큰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시지만, 마음은 여전히 많이 힘드신 것 같아요."
▶ 내적 갈등을 명확하게 인식시켜 주고 감정을 부정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움
3) 기타 : 대상자가 진짜 감정을 수용하도록 도우며, 감정 억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여 정신적 안녕감을 향상시킴
4 침묵
1) 대상자가 생각을 정리하고 준비될 때까지 조급해하지 않고 지켜봐 주는 것
예) "오늘 표정이 많이 어두우신데, 무슨 일 있으세요?"
2) 적절한 대응
간호사: “오늘 표정이 많이 어두우신데, 무슨 일 있으세요?”
(간호사가 조용히 기다리며 환자의 반응을 주시함)
환자: “…사실 가족 문제로 요즘 많이 힘들어요.”
▶ 질문 이후 침묵으로 기다려 환자가 말을 꺼내도록 돕는 것이 핵심
3) 참고 : 개방적 질문 vs 침묵(표로 삽입) 예정
5 칭찬하기
1) 대상자의 행동, 특성, 성취한 일에 대해 격려하기
예) "어제 그림을 한 장 그렸어요"
2) 적절한 대응
“그림을 그렸군요. 멋진 시도를 하셨어요. 그림을 그리면서 어떤 기분이 드셨나요?”
▶ 단순한 칭찬에 그치지 않고 대상자가 한 행동을 구체적으로 인정하고
그 활동에 느낀 감정ㅇ이나 의미를 탐색하도로 연결하는 것
따라서, 구체적 행동을 인정하고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며
추가로 감정탐색이나 대화 확정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6 유머
1) 갈등을 피하되 느낌을 공개적으로 표현하여 억압된 감정을 의식화하고 불안과 긴장을 감소시킴
예) "요즘 언제 가장 불안하세요?"
2) 적절한 대응
“요즘 언제 가장 불안하세요? (잠깐 웃으며) 설마 식사 메뉴 고를 때는 아니시죠?”
▶ 이런 식으로 유머를 섞으면 환자는 긴장감 속에서도 자신의 불안을 이야기할 여유를 얻을 수 있음.
긴장 완화, 관계 형성, 감정 표현 촉진, 스트레슥 겸강 등에 효과가 있음.
3) 주의사항
▶ 환자의 고통을 가볍게 여기거나 조롱하는 듯한 농담 금지!
▶ 공감 기반 사용 : 환자의 감정에 공감 한 뒤 부드러운 톤으로 활용해야 함.
지금까지!
다양한 예시를 통해서
치료적 의사소통에 대해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