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주에는 정신간호학에서 중요한!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양한 사례를 들어 기법(개념)을 정리해 봤습니다.
링크 남겨 놓을게요! 참고하세요!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총정리 1탄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 총정리 2탄
오늘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1탄을 준비했습니다.
[PART 1 비치료적 의사소통이란?]
비치료적 의사소통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사소통에서
장애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장애요인이 대상자가 상호작용을 위협적인 것으로 지각했을 때
나타나는 보호적인 행동을 말합니다.
그럼, 다양한 사례를 들어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에 대해 정리해 볼게요!
[PART 2 사례를 통한 알아보는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1 안심
상담자가 좋은 의도로 대상을 거짓으로 안심시키는 것.
예) "다 잘 될 거예요. 곧 나아질 거예요."
▶ 환자가 자신의 감정이나 문제를 더 깊이 이야기하기 못하게 만드는 대화 차단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
▶ 환자의 불안한 감정을 진정으로 공감하기보다는 회피적 반응으로 작용함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많이 불안하신 것 같아요. 어떤 점이 가장 걱정되세요?"
2 불필요한 칭찬
대상자의 말이나 행동에 대해 "좋다", "훌륭하다" 등 가치판단적 표현을 통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법
예) "그거 좋네요! 아주 잘하셨어요."
▶ 치료적 의사소통은 대상자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자기탐색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칭찬>은 가치판단이 개입되어 대상자의 감정을 그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음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대상자: “어제 그림을 한 장 그렸어요.”
비치료적: “그거 좋네요! 아주 잘하셨어요.”
치료적: “그림을 그리셨군요. 그림을 그리면서 어떤 기분이 드셨어요?”
3 비난
대상자의 선택을 부정하거나 평가하는 말로서 대상자가 자유롭게 자기감정을 표현하거나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과정을 방해함.
예) "그렇게 하는 건 좋지 않아요."
▶ 대상자의 자율성과 자기표현을 억압하고 치료적 관계와 신뢰를 방해하는 평가적/지시적 언어임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그렇게 하려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그 선택에 대해 어떤 기분이 드세요?”
※ 대상자의 생각을 존중하는 접근이 권장됨
4 거절
대상자의 감정 표현을 억제하고 신뢰관계 형성을 방해하며 결과적으로 치료적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 줌.
예) "그런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 지금 바쁜데요."
▶ 대상자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게 제지
▶ 대상자의 요구를 우선순위에서 배제하고 무시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제가 지금은 약간 바쁜데, 10분 후에 시간을 내어 함께 이야기 나눌 수 있어요. 괜찮으실까요?"
※ 현실적인 한계 속에서 함께할 시간을 약속해 신뢰감을 형성.
5 지나친 동의
환자의 자율적인 사고와 감정 탐색을 방해하는 기법으로, 치료적으로는 환자가 더 깊이 자신의 경험을 탐색할 수 있도록 개방적 질문 / 반영 / 명료화 등의 기법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함.
예) "저도 그게 옳다고 생각해요."
▶ 대상자의 의견이나 감정을 무비판적으로 지지하거나 동의하는 표현임.
▶ 지나친 동의는 간호사의 가치판단을 개입시켜 환자 중심적 접근을 저해함.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그렇게 생각하시게 된 이유가 궁금해요.”
“그렇게 느끼시는 데에는 어떤 경험이 있으셨나요?”
“그 점이 당신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 같네요.”
6 지나친 이견
대상자의 진술이나 감정에 대해 간호사가 자신의 관점에서 강하게 반박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표현을 하는 것
예) "저는 그 말에 절대 동의하지 않아요."
▶ 반박/불일치는 치료적 관계의 상호성을 저해하고 환자가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차단시킴
▶ 간호사의 부정적 반응은 환자가 이해받지 못하고 거부당했다는 감정을 느끼게 함.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그렇게 느끼셨군요. 좀 더 자세히 말씀해 주실 수 있나요?”(적극적 경청)
“그런 생각을 하시니 많이 힘드셨겠어요.”(공감)
“제가 이해한 바로는 그 말씀이 ~~라는 의미이신가요?”(명료화)
“그 말씀은 상황이 불공평하다고 느끼신다는 뜻일까요?”(반영)
7 충고
환자에게 특정 행동을 강요하거나 왜 그 행동을 하지 않는지 질문하여 비난/판단/권고의 의미를 내포하는 의사소통 방식
예) "저는 환자분이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환자분은 왜 ~하지 않으세요?"
▶ 환자의 선택권과 자율성을 무시하고, 간호사의 가치관이나 판단을 우위에 두는 언어를 사용
▶ 환자의 불안, 무력감, 자존감 저하와 관련된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음
[대안적 치료적 의사소통 예시]
비치료적 표현 : "저는 환자분이 운동을 하셔야 한다고 생각해요, 왜 운동을 안 하세요?"
치료적 표현
"운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세요?"(개방적 질문)
"운동이 필요하다고 느끼시지만, 실천하기 어려우신 부분이 있으신 것 같아요."(공감적 반영)
지금까지!
비치료적 소통기법 1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양한 사례들이 많아, 나머지는 2탄에서 다룰게요!
감사합니다!